|
20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실시한 '2025년 경영실적 전망 및 애로요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5%가 올해 영업이익이 목표치에 못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코로나 팬데믹이 시작된 2020년 이후 이 비율이 가장 높다. 목표 수준을 달성할 것이란 응답은 20.4%, 초과 달성은 4.6%에 그쳤다.
조사는 지난달 1일부터 12일까지 전국 제조기업 2275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영업익 적자를 예상한 기업은 32.1%로 흑자 전망(27.0%)을 앞질렀다. 특히 지난해 흑자였다가 올해 적자로 돌아설 것으로 본 기업 비율은 7.1%로, 반대 전환(3.1%)의 두 배를 넘었다.
기업들은 내수 침체와 수출 둔화를 실적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소비 회복이 지연되고 건설경기 부진이 이어지면서 내수 여건이 좀처럼 살아나지 못했고, 반도체를 제외한 수출도 1~9월 누적 기준 전년 대비 1.5% 감소했다.
여기에 '원자재 가격 상승'(42.5%)과 '인건비 상승'(30.4%)이 기업들의 비용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구리·알루미늄 등 비철금속 가격이 오르고 근로자 1인당 임금총액이 꾸준히 늘어나면서 인건비 부담도 커졌다. 여기에 통상임금 범위 확대 논의까지 겹쳐 채산성 악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법·제도 환경에 대한 체감도 부정적이다. 응답 기업의 44.3%가 '부담이 커졌다'고 답했으며, '감소했다'는 응답은 5.2%에 불과했다. 지역 경기 상황 역시 '악화됐다'는 답변(49.4%)이 '변화 없다'(40.9%)보다 높아, 전반적인 경기 침체 인식이 짙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가오는 정기국회를 앞두고 기업들이 가장 우려하는 입법 과제로는 '법인세 인상 등 기업비용 증가'(50.5%)가 꼽혔다. '기업제도 규제 강화'(40.6%), '노사관계 부담 증대'(38.6%)에 대한 걱정도 컸다.
대한상의는 기업실적 기대가 떨어지는 상황에서 기업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과 입법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우선 법인세 인상 등 기업 부담을 가중시키는 입법에 신중하는 한편 기업 규제를 확대하기 보다는 경영 불확실성 완화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산업별 특성에 맞는 투트랙 산업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기업들은 국내외 리스크 속에서 내수 부진, 비용 증가, 관세 부담 등 복합 위기를 한꺼번에 감내하고 있다"며 "지금이야말로 국회와 정부가 입법을 통해 기업들에게 숨통을 틔워줘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