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장관은 20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한 자리에서 기자들과 만나 "여러 쟁점들이 서로 합의점에 이를 수 있었다"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한국이 감내) 가능한 범위를 찾기 위해 마지막 움직임이 있다"면서도 세부적 쟁점에 대해선 말을 아꼈다.
김 장관은 지난 16일(현지시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 등과 함께 미국 워싱턴 DC의 상무부 청사를 방문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양측은 한국의 대미 투자 패키지의 구체적 실천 방안 등에 대해 협의했다.
결국 막판 쟁점은 한국이 투자를 약속한 3500억달러의 세부적 지불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김 장관은 현재 미국이 당초 요구했던 '3500억달러 전액 현금 투자'를 고수하는 상황은 아니라고 밝혔다.
김 장관은 "거기까지 갔으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텐데, 상당 부분 미국에서 우리 측 의견을 받아들인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APEC 전 타결 가능성에 대해선 "두 정상이 만나는 기회가 흔치 않은 기회이기 때문에 양측이 APEC을 계기로 협상을 만들어 보자는 일치감이 있다"면서도 "국익에 맞는 타이밍까지 왔느냐가 더 우선"이라고 했다.
그는 또 "시기적으로 APEC 전에 해결 가능한 과제인지 판단이 필요하고, 필요하면 (미국에) 다시 갈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백악관 예산관리국(OMB)과 러셀 보트 국장과 면담하며 "마스가 프로젝트를 어떻게 구체화시켜 나갈지에 대해 논의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