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025 국감] 이창용 “유동성 풀어 부동산시장 불 지피지 않겠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1010006965

글자크기

닫기

한상욱 기자

승인 : 2025. 10. 20. 17:54

기재위 국감
정책 우려 질문에 기준금리 동결 시사
"외화조달, 年 150억~200억달러 가능"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한국은행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0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앞두고 "유동성을 늘려 부동산에 불을 지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용 총재는 20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점에서 열린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한국은행 국정감사에서 박대출 국민의힘 의원의 10·15 부동산 대책 관련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이 과열 조짐을 보이자,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에 무게를 두겠다는 의중을 내비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재는 "부동산 문제는 어느 한 정책을 가지고 해결하기에는 너무나 복잡한 문제"라며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유동성을 더 늘림으로써 부동산 시장에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하지 않으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부동산 시장 안정과 경기 부양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만큼, 한은의 결정에 시선이 쏠리고 있어서다. 다만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으며 집값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이달 금통위에선 인하보다는 동결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이 총재는 금리 동결 전망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의에 "(경제 전문가들이) 동결을 전망하는 것은 부동산 가격에 대한 걱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경기와 환율, 부동산 문제 등 여러 변수가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어 단일 요인만 보고 결정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우려도 드러냈다.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향후 추가 금리 인하가 불가피하더라도 부동산 시장 때문에 단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하느냐"고 묻자, 이 총재는 "그렇기 때문에 여러 정책이 종합적으로 사용돼야 한다"며 "경기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지만, 금융위험과 부동산 시장의 위험도 같이 평가돼야 한다"고 답했다.

또 한·미 관세 협상의 관건인 3500억 달러(한화 약 500조원) 대미 투자에 대해선 "외환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고 1년 사이에 외화를 조달할 수 있는 규모는 150억 달러에서 200억 달러 수준"이라고 답했다. 대미 투자 해법으로 떠오른 한은과 미국 재무부 간 통화 스와프 가능성에 대해선 "(한은은) 검토한 적 없고, 통화스와프는 단기 유동성이 목적인 만큼 장기 투자와 같은 목적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한상욱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