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 우려 질문에 기준금리 동결 시사
"외화조달, 年 150억~200억달러 가능"
|
이 총재는 "부동산 문제는 어느 한 정책을 가지고 해결하기에는 너무나 복잡한 문제"라며 "한국은행 입장에서는 유동성을 더 늘림으로써 부동산 시장에 불을 지피는 역할을 하지 않으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국감에서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에 대한 질의가 이어졌다. 부동산 시장 안정과 경기 부양이라는 두 과제를 동시에 안고 있는 만큼, 한은의 결정에 시선이 쏠리고 있어서다. 다만 정부가 10·15 부동산 대책을 내놓으며 집값 잡기에 총력을 기울이면서, 이달 금통위에선 인하보다는 동결에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이 총재는 금리 동결 전망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의에 "(경제 전문가들이) 동결을 전망하는 것은 부동산 가격에 대한 걱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경기와 환율, 부동산 문제 등 여러 변수가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어 단일 요인만 보고 결정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정부 부동산 정책에 대한 우려도 드러냈다. 박성훈 국민의힘 의원이 "향후 추가 금리 인하가 불가피하더라도 부동산 시장 때문에 단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하느냐"고 묻자, 이 총재는 "그렇기 때문에 여러 정책이 종합적으로 사용돼야 한다"며 "경기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하지만, 금융위험과 부동산 시장의 위험도 같이 평가돼야 한다"고 답했다.
또 한·미 관세 협상의 관건인 3500억 달러(한화 약 500조원) 대미 투자에 대해선 "외환시장에 충격을 주지 않고 1년 사이에 외화를 조달할 수 있는 규모는 150억 달러에서 200억 달러 수준"이라고 답했다. 대미 투자 해법으로 떠오른 한은과 미국 재무부 간 통화 스와프 가능성에 대해선 "(한은은) 검토한 적 없고, 통화스와프는 단기 유동성이 목적인 만큼 장기 투자와 같은 목적에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