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화짱조 OUT!”…‘팩트 믹싱’으로 급성장한 혐중 청년 단체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2010008293

글자크기

닫기

최민준 기자 | 김홍찬 기자

승인 : 2025. 10. 22. 18:08

'혐중'의 민낯
尹 탄핵 반대하며 등장해 '혐중' 집회
주기적으로 주제 바꾸며 세력 확장
SNS서 '혐오 마케팅'으로 분노 조장
clip20251022150318
지난 18일 서울 이태원에서 개최된 자유대학 집회. / 김태훈 기자
거리와 온라인을 통해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는 '혐중(중국에 대한 혐오)'의 핵심 세력으로 청년 극우 단체 '자유대학'이 지목되고 있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시위로 처음 모습을 드러낸 자유대학은 꾸준히 공격 대상을 바꾸면서 대중에게 분노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가짜뉴스 전파는 점점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대중을 현혹하는 '분노팔이'가 성행하며 도를 넘은 '혐오 마케팅'이 활개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탄핵 정국에 등장…'혐중' 이용해 거리 중심으로

자유대학은 윤 전 대통령 탄핵 정국이 한창이던 지난 2월 처음 등장했다. 대통령 탄핵 소추 이후 '자유수호대학연대'라는 이름으로 설립됐고, 올해 초 자유대학으로 이름을 바꿨다. 이들은 윤 전 대통령 탄핵 반대, 부정선거 등을 주장하며 규모를 키웠다.

세력 확장에는 주기적인 '의제 갈아타기'를 활용했다. 자유대학은 애초에 탄핵 반대와 12·3 계엄 옹호를 주장했다가, 21대 대통령 선거 전후에는 부정선거와 '윤 어게인'(윤 전 대통령 복귀)으로 강도를 높였다. 자유대학의 혐중 행보는 지난 7월 들어 본격화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12.3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사태를 거치며 집결한 극우 세력이 구심점을 잃으며 '중국 혐오'라는 새로운 의제에 몰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준희 전 자유대학 대표는 "우리의 메시지는 거의 비슷한 맥락이다. 중국 이슈로 조금씩 변화하다가 중국인 무비자 입국 소식에 더 확장된 것일 뿐이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익명을 요구한 정치 평론가는 "기존의 정치적 명분이 분열과 피로감을 낳은 상황에서 한층 명확하고 감정적인 타깃으로 중국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자유대학은 혐중 집회를 통해 조직화에 성공했고 핵심 극우 단체로 성장할 수 있었다. 수백명에 불과하던 자유대학 집회 규모는 이 기간 최대 1만명 수준으로 확대됐다. 이제는 서울 명동, 대림, 이태원을 넘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열리는 경주 집회까지 예고하고 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중국인 자체를 향한 '무분별한 혐오'가 조장되고 있다는 것이다. '차이나 아웃', '화짱조(화교, 짱개(중국인 멸칭), 조선족) 꺼져라' 등의 구호는 시작에 불과하다. 태극기에 공산당을 상징하는 망치와 낫을 그려 넣은 후 짓밟거나, 지나가는 시민들에게 "매국노"라고 소리치는 등 규모가 커질수록 집회는 더욱 과격해지는 양상이다.

박준영 자유대학 대표는 아시아투데이와의 통화에서 "현장에서는 중국 공산당을 주로 언급하지만, 전반적으로 중국 전체를 대상으로 한 집회라고 보면 된다. 우리 국민의 반중 정서가 강하다는 걸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집회는) 안전하게 질서를 유지하며 진행되는 평화 집회"라며 "우리를 보고 반중이 아닌 혐오 집단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이야말로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고 혐오 프레임을 씌우는 것"이라고 했다.

◇7개월 만에 '10만 유튜버' 등극…쏠쏠한 '혐오 마케팅'

자유대학은 유튜브와 인스타그램 등 SNS를 선전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중국, 북한을 비롯해 정치 관련 카드뉴스와 영상 등을 주로 제작한다. 트레일러(사전 홍보 영상)와 실시간 생방송 등 이른바 'MZ 감성'을 활용한 프로그램도 주된 홍보수단이다.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방식이다. 실제로 유튜브 채널 개설 후 7개월 만에 구독자 10만명을 넘기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

문제는 이런 결과물이 사실을 기반으로 하되 핵심 내용을 의도적으로 왜곡하는 '팩트 믹싱(Fact mixing)'을 통해 만들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게 뉴스를 활용한 자체 제작물이다. 자유대학은 지난 9월 12일 '한국인만 손해 보는 화교 혜택 알아보기'라며 국내에 거주하는 화교들이 △취득세·양도세·상속세 등 세금 면제 △화교 특별 입학 전형 △화교 특별 장학금 등의 특혜를 보고 있다는 게시물을 공개했다.

아시아투데이가 팩트 체크를 진행한 결과 모두 '가짜뉴스'로 드러났다. 먼저 세금 면제의 경우 우리나라 상속세법은 피상속인이 국내에 거주할 경우 국내외 모든 상속재산에 대해 무제한 납세의무를 부과한다. 다만 외국에 있는 상속재산은 외국법령에 의해 상속세를 매길 수 있는데, 국가 간 이중과세를 막기 위해 외국에 납부한 만큼 세액공제를 해준다. 이는 국적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다. 취득세와 양도세도 마찬가지로, 특별 면제 조항은 없다. 화교 특별 입학 전형의 경우 '외국인 전형'의 이름을 바꿔 게재했으며, 화교 특별 장학금 역시 아시아 대학 연맹·재외동포 대상 장학금으로 판명됐다. 이 같은 정보는 알고리즘을 통해 대중들에게 확산되고 있다. 팩트 믹싱에 대해 자유대학 측은 "외국인 비율 중 중국인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중국인 특혜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는 대답을 내놨다.

박상병 시사평론가는 "혐오는 표현의 자유가 아닌 폭력으로, 철저히 차단해야 한다"며 "혐오 시위를 '민주 사회의 적'으로 규정한 유럽 등의 사례를 참고해 '혐중론'의 확대를 방지하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민준 기자
김홍찬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