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北, 약 2년간 가상자산 4조원 탈취…중국, 캄보디아도 개입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2010008428

글자크기

닫기

정채현 기자

승인 : 2025. 10. 22. 21:00

clip20251022164436
다국적 제재 모니터링팀(MSMT)이 지난 7월 17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MSMT 제공
북한이 지난해 1월부터 올해 9월까지 약 4조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하고, 자금 세탁 후 이를 중국과 캄보디아 등 해외 브로커를 통해 현금화한 사실이 드러났다.

다국적 제재 모니터링팀(MSMT)은 22일 이 같은 내용의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에 대한 2차 보고서를 공개했다. '유엔 밖 대북제재 감시체제'로 지난해 공식 출범한 MSMT에는 한미일 등 11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최소 8개국에서 체류 중인 2000여명의 북한 IT 노동자들은 약 2년간 28억4000만 달러(한화 약 4조원) 규모의 가상자산을 탈취했다. 북한 사이버 조직들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수법을 정교화함에 따라 탈취금액이 빠르게 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약 1조7000억원, 올해 9월까지는 약 2조3000억원을 탈취했다.

특히 탈취한 가상자산의 현금화 과정에서 중국 국적자·금융시스템이 상당 부분 관여한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 국적자들은 북한 사이버 조직들에게 위조 신분증 조달 및 가상자산 탈취·세탁 등을 도왔다. 중국 외에도 캄보디아·러시아·홍콩 등 제3국 네트워크도 개입한 정황이 확인됐다.

해외서 '북한 노동자 고용금지·송환 의무'를 규정한 안보리 결의에도 불구하고, 북한 IT 노동자들은 해외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지속하고 있다. 이들은 유엔 제재대상 단체(정찰총국·원자력공업성·국방성·군수공업부 등)의 하위기관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절반을 북한에 송금하며 정권 수익 창출에 기여해 왔다.

북한은 가상자산 탈취 외에도 한국·미국·중국·영국 등의 군사 정보기술도 탈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은 한국 소프트웨어 공급망을 공격해 우리 방산 분야 정보를 절취하고, 중국 드론 제조사의 연구 정보를 탈취했다.

MSMT 참여국들은 이날 공동성명에서 "모든 유엔 회원국들은 북한의 불법 활동과 촉진자들에 맞서 국제평화에 동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북한은 지난 MSMT 1차 보고서 발표 직후 비난 메시지를 낸 바 있어 이번 보고서에 대해서도 반발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채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