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기억 모아 안전 사회로”…이태원 참사 3주기 맞아 빌보드 작품집 발간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023010009153

글자크기

닫기

이하은 기자 | 이주언 인턴 기자

승인 : 2025. 10. 23. 17:58

23일 이태원참사 현장 빌보드에 11번째 작품 게시
“작품 통해 슬픔 기억하고 희망 느끼는 공간으로”
KakaoTalk_20251023_160425246_02
23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에 세워진 빌보드에 작품이 걸려 있다. /이하은 기자
"이태원 참사 현장의 작품들이 단지 비극의 현장이 아니라 우리가 안전 사회로 나아가는 기억들을 모아가는 공간으로 만들어 주는 것 같다."

김덕진 10·29 이태원참사 시민대책회의 대외협력팀장은 23일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에 세워진 빌보드 작품에 대해 이 같이 소개했다.

이는 참사를 추모하고 애도하는 글귀와 별들이 어우러진 배경 안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이 서로 끌어안고 있는 모습을 담았다.

KakaoTalk_20251023_160548791
23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1번 출구 앞 '10·29 기억과 안전의 길'에 세워진 빌보드 앞에서 이태원 참사 유가족들과 시민대책회의 관계자, 빌보드 작품 작가 등이 부둥켜 안고 있다. /이주언 인턴기자
현장을 찾은 유가족들은 작품을 살펴보며 작가로부터 설명을 듣기도 하고 작품 안에 나타난 모습을 따라 서로 부둥켜 안아보기도 했다. 작품 앞에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꽃다발을 내려놓으며 눈시울을 붉히는 이들도 있었다.

작업에 참여한 권은비 예술감독은 "이태원 참사 이후에 우리 사회가 얼마만큼 참사로 인해 아픔을 가진 사람들을 안아주고 있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며 우리 사회가 그들의 아픔을 보듬어 안아야겠다는 고민을 담은 작품"이라며 "추모와 애도의 문장 가운데 놓인 별들이 참사 현장에서 공간을 따스하게 비출 수 있도록 작업했다"고 설명했다.

역시 작업에 참여한 이민재 디자이너도 "기억한다는 것은 우리 마음속에 머물 자리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라며 "그래서 말과 말 사이 빈 공간에 별을 뒀다. 희생자들이 별이 됐다고 생각하며 작업했는데, 그 별들이 말에도 시간에도 공간에도 남아서 우리 곁에서 남겨진 자들을 지켜주는 별자리가 됐으면 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대책회의와 유가족협의회는 이번 작품을 끝으로 더 이상 빌보드 교체를 하지 않는다는 방침으로 이 작품이 마지막 작품이 될 것이라고 했다.

KakaoTalk_20251023_160425246_01
23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별들의집'에서 열린 빌보드 작품집 발간 기자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이 발언하고 있다. /이하은 기자
이날 참사 3주기를 맞아 그동안 현장 빌보드에 게시됐던 작품들을 엮은 작품집 발간 소식도 전해졌다.

송혜진 유가족협의회 위원장은 "3년 전 이태원 골목길은 저희에게는 아무래도 슬픈 장소였다. 그런데 이런 작품과 작품집 발간을 통해 이것이 슬픔뿐만 아니라 이 슬픔을 기억하고 내일의 희망을 함께 느낄 수 있는 공간이 될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이 작품들이 단순한 기록을 넘어서서 우리 사회가 생명과 안전의 가치를 되돌아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하은 기자
이주언 인턴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