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사 지원율도 낮아, 부사관 수급 국방부 차원 지원 필요
|
23일 국회 국방위원회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해군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주요 함정별 간부 보직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장보고급 잠수함'인 박위함, 이종무함에 보직된 하사는 0명이었다. 3000t급 잠수함 도산안창호함의 하사 보직률도 34%에 그쳤다. 이에 비해 상사 보직률은 박위함 216%, 이종무함 228%, 안창호함 137%로 각 잠수함의 하사 계급 공백을 상사 계급들이 메꾸고 있었다.
수상함도 역시 하사 보직률이 저조했다. 해군의 주력 전력인 구축함 대조영함은 28.6%, 세종대왕급 이지스함 율곡이이함은 39.1%, 광개토대왕함 53.5%, 을지문덕함 39.1%, 양만춘함 53.5%의 하사 보직률을 기록했다. 서해 NLL 등 연안 방어와 고속 기동 임무를 위한 주요 유도탄고속함도 현시학함은 35.7%, 김수현함 35.7%, 임병래함 50% 등으로 편제 대비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의 하사들이 함정근무를 하고 있었다.
해군은 신규 하사 모집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5년간 신임 하사 선발률은 2020년 89.7%, 2021년 88.9%, 2022년 86.5%, 2023년 62.4%, 2024년 54.7%로 매년 하락했다. 특히 올해 9월 기준 선발률은 43.3%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