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범죄단지 조직 타국 이동은 변수
![]() |
23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국제공조협의체 발족식 모습.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이 관련해 발언하고 있다. /제공=경찰청 |
협의체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캄보디아·태국·필리핀·라오스·미국 등 9개국으로 구성됐다. 이들 국가는 캄보디아 범죄단지 내에서 발생하는 스캠과 납치·감금 실태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참여하기로 했다. 이날 발족식에 참여한 국제형사경찰기구인 인터폴 측은 "국제공조협의체에 참여하는 기관들의 조율에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동남아 지역경찰협의체인 아세아나폴도 중요한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경찰청은 아시아 주요국인 중국·일본·싱가포르 등까지 참여토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캄보디아 범죄단지에 대한 '대응 전선'을 최대한 넓히는 것이다. 이에 경찰청은 합동 작전명 'Breaking Chains(사슬 파괴)'를 선언하고 거시적인 계획에 대해 처음 논의했다. 작전명은 피해자들을 자유롭게 하겠다는 의미다. 이에 대해 협의체는 다음 달 11~12일 서울에서 추가 협의를 이어가기로 한 상태다.
관건은 '캄보디아 협조'를 끌어내는 것이다. 당국의 빠른 협조가 있어야만 합동 작전 수행으로 일시 소탕이 가능한데,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상태다. 이런 상황 탓에 작전 수행 시기도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로 파악됐다. 내년 상반기 중 추진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경찰 관계자 설명이다.
더 큰 문제는 캄보디아 범죄단지 조직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이다. 경찰청은 이를 주시하면서 인근 국가 다른 지역까지 작전 대상지로 고려하고 있다. 이에 미뤄봤을 때 작전 수행이 한 번으로 그치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이와 별도로 '코리안데스크 설치'도 중장기적인 과제로 남아있다.
유재성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지난 20일 치아 삐어우 캄보디아 경찰청 차장과 양자회담에서 코리안데스크 대신 핫라인 등이 구축된 '합동대응 TF' 설치에 합의했다. 애초 목표에서 한 단계 낮은 '차선책'으로 타결된 것이다. 이때 역시 캄보디아에서 우리나라 경찰이 상주하는 것에 대해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