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자금조달·외환거래 '원스톱' 지원
가계대출 규제로 기업금융 중요성 커져
정부 정책기조 반영·장기고객 확보 기대
|
기업금융의 강자로 꼽히는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들에 대한 금융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장형 CEO'인 이호성 하나은행장은 직접 수출 기업인을 만나 어려움을 듣고, 맞춤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다. 금융지원책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했다는 점에서 '실용성'을 확보했다는 평가다.
중소기업 영업에 특화된 것으로 알려진 정진완 우리은행장은 원스톱 지원을 통해 '효율성'을 높이는 방식을 선택했다. 관세 피해기업의 자금조달과 외환거래를 한 번에 지원하는 방식이다.
두 은행의 수출기업 지원 전략은 정부의 강력한 가계대출 규제로 기업금융의 중요성이 커진 상황과 맞물린다. 일시적 어려움을 겪는 수출입 중소·중견기업을 돕고, 우량 기업을 선별해 지원할 경우, 장기적인 고객 확보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생산적·포용금융을 강조하는 정부 정책 기조와도 맞닿은 행보다.
27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미국 관세 정책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중견기업과 소상공인의 신속한 경영 안정화를 돕기 위해 총 23조2000억원의 자금을 공급한다. 주요 기업 대출 특판 16조원과 3조원 규모의 고정금리 우대대출, 2조원 규모의 신속지원 특별프로그램을 통해 유동성 지원에 나선다.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5조40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도 병행한다. 무역보험공사와 손잡고 7000억원 규모의 '2차 수출패키지 우대금융'을 지속 공급하는 동시에, 수출입 핵심 성장산업을 대상으로 4조원 규모의 우대금융과 외국환 수수료·환율 우대 혜택을 제공한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점은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이를 지원책에 반영해 실용성을 확보했다는 데 있다.
지난 9월 이호성 행장은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10개 기업 대표들과 현장 간담회를 열고, 신용평가 심사기준 완화를 검토했다. 당시 간담회에서 기업인들의 가장 큰 우려는 신용등급 하락에 따른 대출한도 축소와 금리 상승이었다.
우리금융그룹은 미국 관세 정책과 관련해 시장 안정과 수출입기업 및 협력업체 지원을 위해 총 10조20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주력 계열사인 우리은행이 지원의 중심에 선다.
중소기업 전문가인 정진완 행장은 효율성을 강조했다. 조직 개편을 통해 외환사업본부를 기업그룹 산하로 배치, 기업 고객의 자금조달과 외환거래를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혁신성장기업과 우량 수출입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우리 성장산업 수출입 패키지'도 눈에 띈다. 이 상품은 경쟁력 있는 금리와 통합 한도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으로, 보다 유연한 자금 운용을 지원한다.
외환 전자거래 플랫폼 '우리WON FX'를 통해 수출입기업의 환리스크 관리도 지원한다. 환율 상승으로 운영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수출입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5억원까지 유동성을 공급하는 '경영안정 특별지원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출입 기업 지원은 정부 정책 기조에 부응하는 측면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기업 고객을 확보하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기업금융 명가를 자처하는 은행들이 적극적으로 지원에 나선 이유"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