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혜련·홍민희·김창곤 연세암병원 종양내과 교수, 고윤우·심남석 이비인후과 교수, 이인석 연세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교수·차준하 박사과정생 공동 연구팀은 면역항암제 치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의 아형을 발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리포츠 메디신(Cell Reports Medicine)'에 게재됐다.
면역항암제는 항암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처럼 외부에서 종양을 공격하는 게 아닌, 환자의 면역 체계를 직접 활성화해 종양을 공격하도록 유도한다. 대표 약제는 면역 반응을 지속하고 강화하는 'PD-L1 억제제'와 면역 반응을 시작시키는 'CTLA-4 억제제'다.
김혜련 교수 연구팀은 선행 면역항암요법 임상시험에 참여한 두경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PD-L1 억제제 단독 투여군과 PD-L1 억제제에 CTLA-4 억제제를 병행 투여한 군으로 나눠 진행했다. 선행 면역항암요법은 외과 수술을 받기 전에 암세포를 줄인 뒤 수술을 진행하는 치료 전략이다. 이때 연구팀은 '파운데이션 모델'을 사용했다. 이 모델은 복잡한 세포 상태와 면역 반응 차이를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 흔히 '세포 GPT(Cell GPT)'라고도 불린다.
연구팀은 한 개의 세포 안에서 어떤 유전자들이 어떻게 발현되는지 측정하는 '단일세포 전사체 분석'과 면역세포인 T세포의 면역력을 측정하는 'T세포 수용체 분석'을 진행했다.
결과는 기존 면역항암제 효과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T세포의 아형 두 가지를 확인했다. 같은 T세포를 가지고 있더라도 T세포 아형1이 활성화되면 면역항암제 효과가 높아지고, T세포 아형2가 우세하면 면역항암제에 내성이 생겨 약효가 떨어진다는 것이다. 동일한 T세포라도 어떤 아형이 활성화되느냐에 따라 치료효과가 달라진다는 셈이다.
또한 연구팀은 앞서 병행 투여에 사용한 약제인 CTLA-4 억제제가 암세포를 공격하는 세포(CD4 T)를 활성화시키고,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반응하지 않도록 조절하는 세포(4-1BB 양성 조절T세포)도 함께 강화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CTLA-4 병행 요법에서 환자마다 치료반응이 다른 이유라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김혜련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면역항암제 치료반응 예측법을 확인하면서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었다"며 "특히 T세포의 아형을 표적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은 향후 면역항암제 치료 효과를 더욱 높이고 불필요한 치료를 줄일 수 있는 데 기여할 것"이라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