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은 이날 "APEC 회원 정상들이 경주 선언(Leaders' Gyeongju Declaration)과 AI 이니셔티브,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 등 3건의 문서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경주 선언은 올해 APEC의 3대 중점 과제인 '연결·혁신·번영'을 기본 틀로 무역·투자, 디지털 혁신, 포용적 성장 등 핵심 현안을 포괄했다. 특히 국제경제 불확실성이 심화되는 가운데 21개 회원국이 주요 글로벌 경제 현안에 대한 포괄적 협력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선언문에는 문화창조산업을 역내 신성장동력으로 인정하고 협력 필요성을 명시했다. 대통령실은 "문화창조산업을 정상문서에 처음 명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향후 K-컬처가 아태지역의 성장축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APEC AI 이니셔티브는 회원국 모두가 AI 전환 과정에 참여하고 기술 발전의 혜택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을 담았다. 주요 내용은 △AI 혁신을 통한 경제성장 촉진 △역량 강화 및 AI 혜택 확산 △민간의 회복력 있는 AI 인프라 투자 확대 등이다.
대통령실은 "APEC 최초의 명문화된 AI 공동 비전이자, 미국과 중국이 모두 참여한 첫 정상급 합의문"이라며 "'AI 기본사회 구현'과 '아시아·태평양 AI 센터' 설립 등 우리 정부의 기본정책 방향과 실질적 협력 방안을 반영했다"고설명했다.
인구구조 변화 대응 공동 프레임워크는 저출생·고령화 등 인구문제가 역내 공통의 도전과제라는 인식 아래 마련됐다. 5대 중점 분야로 △회복력 있는 사회시스템 구축 △인적자원 개발의 현대화 △기술기반 보건·돌봄 서비스 강화 등이 포함됐다.
총 3건의 문서가 채택된 것 관련 대통령실은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APEC은 포용적·지속가능한 성장과 혁신을 통한 번영, 인류 공동의 미래 대응력 강화라는 공동 목표를 향한 협력의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고 평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