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건보공단, 빅데이터 기반 급여적정성 분석 연구결과 발표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3010000868

글자크기

닫기

이세미 기자

승인 : 2025. 11. 03. 14:11

2025093001010024128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보건대학원에서 열린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 급여적정성 분석·정책적 함의'를 주제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지난달 31일 진행된 학술대회는 전 국민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해 건강보험 급여 적정성 제고를 위한 과학적 근거 마련을 위해 실시했다.

세션은 세 가지 주제발표와 지정토론으로 구성했다. 주제발표는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 사용 차이 분석, 소화기관용 의약품 주목적 외 사용 패턴 분석, 비중격만곡증 수술 의료이용 행태·건강보험 재정 영향 분석 등을 다뤘다.

노연숙 건보공단 빅데이터융합연구부장은 "메틸페니데이트는 ADHD의 주된 치료제로 공단이 보유한 사회경제적 수준 정보를 활용해 소득수준과 거주 지역에 따른 사용 격차가 크다"는 분석결과를 제시했다. 이어 "특히 소아·청소년뿐 아니라 최근 성인의 메틸페니데이트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성인 환자는 다른 정신과 공존질환 여부를 고려한 약제사용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태화 건보공단 부연구위원은 "'지난해 국민 84%가 소화기관용 의약품을 처방받은 경험이 있고, 1인당 연평균 165정을 처방받고 있어 과다복용으로 인한 환자 안전 문제와 관행적 처방으로 인한 재정 부담 우려가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체 소화기관용 의약품 처방 중 호흡기계·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처방 비율이 소화기계 질환의 비율 보다 크게 높았고, 특히 단순 감기인 급성 상기도 감염 환자의 75.7%(처방전 기준 63.6%)에서 소화기관용 의약품이 처방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하성준 건보공단 부연구위원은 "비중격만곡증 수술은 2015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고, 성·연령별로는 20대 여성, 진료과목은 성형외과에서의 수술이 현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 점이 주목된다"고 말했다. 하 부연구위원은 "실손보험이 건강보험 급여 본인부담금을 보장해주는 제도로 인해 비중격만곡증 수술과 미용성형을 동시에 시행하도록 유인해 건강보험 재정이 추가로 지출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진 토론에는 장선미 가천대 교수, 유승찬 연세대 교수, 장정현 일산병원 교수가 참여했다. 이들은 "데이터 기반 근거가 임상현장에서 적정급여 유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전문가 그룹과 활발한 의견교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션의 좌장인 김재용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연구개발실장은 "건강보험 빅데이터는 전 국민의 사회경제적 수준, 의료이용, 건강검진결과, 장기요양이용 등 생애주기별 정보를 포괄하고 있는 패널데이터로서 잠재가치가 풍부한 국가적 자산"이라면서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 근거 생산으로 의료기관의 적정진료를 유도하고 국민이 합리적으로 의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세미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