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AI 기반 중기 지원체계 개선…중기 통합지원 플랫폼 가칭 기업마당 구축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3010001094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11. 04. 08:00

AI 기반 맞춤형 지원사업 서비스 제공
중기부,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서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 발표
1
한성숙 중기부 장관.
정부가 △중소기업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 △인공지능(AI) 기반 맞춤형 서비스 제공 △디지털화로 서류부담 감축 △불법 브로커 등 제3자 부당개입 차단 △시장·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강화 등 중소기업 지원사업의 지원체계를 개선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4일 열린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수요자 중심·AI 기반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주요내용은 우선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기업마당과 중소벤처24의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한다. 정부부처 등이 주관하는 2700개 중소·벤처기업·소상공인 지원사업 공고를 통합 제공하고 중소기업 확인서 등 21종의 확인·인증서를 통합 발급한다. 또한 통합플랫폼 로그인만으로 지원사업 신청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하도록 지원사업 신청채널들과 연결한다. 먼저 중기부의 37개 신청채널과 연결한 뒤 부처 협의를 거쳐 타 부처의 중소기업 지원 공공기관으로도 확대한다.

중소기업·소상공인이 사업공고를 읽고 적합한 지원사업을 찾아야 했던 문제를 AI를 통해 해결한다. AI가 기업의 업종·지역 등을 학습해 기업별 최적화된 지원사업을 추천한다. 수출 중소기업에게는 맞춤형 수출국가와 관세 정보(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소상공인에게는 맞춤형 상권 분석 정보(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제조기업에는 맞춤형 기술 공급기업 추천(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등 지원 대상별 특화된 정보도 제공한다.

지원사업 신청 때 기업이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평균 9개에서 4.4개로 50% 이상 감축한다. 사업자등록증 등 행정기관 발급서류는 행안부의 행정정보공동이용, 공공마이데이터 서비스 등과 연계해 지원기관이 자체적으로 확보한다. 현재 43%인 연계율을 내년까지 96%로 확대한다.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부담으로 작용하는 10~20쪽 분량의 사업계획서 작성을 AI로 지원한다. 기업이 사업자등록번호, 희망 지원사업, 사업계획 키워드만 입력하면 AI가 기업정보 등을 수집·학습해 신청기업과 지원사업에 맞춤화된 사업계획서 초안을 제공한다.

13개 지방 중소벤처기업청과 7개 중기부 산하 공공기관에 제3자 부당개입 예방·신고 채널을 운영한다. 불법 브로커의 공공기관 사칭 등을 모니터링해 제거하고 AI를 기반으로 불법 브로커가 대리 작성한 사업계획서를 적발한다. 제3자 부당개입 행위 중 정부·공공기관 사칭 등 불법 행위를 유형화하고 이에 대한 자료제출 요구권, 제재 규정을 마련한다.

팁스(TIPS)와 같이 벤처캐피털(VC)이 선투자하고 추천한 스타트업을 정부가 매칭 지원하는 방식을 확대해 평가위원의 전문성·객관성 한계를 극복한다. 현대자동차 등 글로벌 대기업이 수요에 맞는 파트너 스타트업을 선별해 정부와 함께 지원하는 개방형 혁신 프로그램도 확대한다.

그간 축적된 중소벤처기업 기술평가·특허 빅데이터의 AI 학습을 거쳐 개발된 개방형 기술(기업) 평가 플랫폼인 '케이톱(K-TOP)'을 확산한다. 제조 AI 등 혁신기업 지원사업의 기업평가 과정에 케이톱을 적용해 우수기업을 선별한다. 금융시장과 연계를 통해 은행이 케이톱에서 대출 희망기업을 평가하면 기술보증기금에서 보증서를 발급하고 은행이 바로 대출을 실행하는 원스톱 기술금융 체계를 마련한다.

중진공이 정책자금 지원기업 선별에 활용 중인 AI 평가 모델(K-value)을 혁신바우처 등 중소기업 지원사업에 적용해 지원기업을 선별한다.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와 협업을 통해 소상공인 특화 신용평가시스템(SCB)을 개발하고 소상공인 정책자금에 활용한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이제는 공공도 서비스 혁신을 이뤄내야 하며 더 이상 중소기업, 소상공인을 불편하게 해선 안 된다"며 "중소기업 지원체계가 사람 중심의 방식으로 직관적이고 손쉬운 시스템으로 개선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