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대전환 '슈퍼예산' 설득 총력전
인공지능 집중 투자로 新성장 모색
  |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이재명 정부가 제시한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3대 방향'은 △AI 성장 △민생 회복 △균형발전으로 요약된다. 이 대통령은 내년 총지출을 올해보다 8.1% 증가한 728조원으로 편성했다고 밝힌 뒤 향후 예산 활용 계획에 대해 조목조목 설명했다.
먼저 정부는 AI 산업 투자 확대로 성장 토대를 다질 것을 강조했다. 이를 위한 AI 대전환 작업에 총 10조1000억원을 편성했으며, 이는 올해 예산(3조3000억원)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규모다. 인재양성과 인프라 구축에 7조5000억원, 산업·생활·공공 전 분야 AI 도입에 2조6000억원을 투입한다.
구체적으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급인재 1만1000명을 양성하고 맞춤형 교육을 통해 누구나 AI를 주도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도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1만5000장을 추가 구매해 정부 목표인 3만5000장을 조기에 확보한다는 입장이다.
산업에서는 로봇·자동차·조선·반도체 등 분야를 필두로 AI 도입에 속도를 내기 위해 향후 5년 동안 약 6조원을 투입한다. 여기에 바이오헬스, 주택·물류 등 생활밀접형 제품 300개의 신속한 AI 적용을 지원하고 복지·고용, 납세 등 공공부문 AI 도입도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AI 성장과 별개로 취약계층 생활을 지원하는 등 민생 회복에도 주력한다. 저소득층의 안정적 소득기반을 마련하고자 기준중위소득을 6.51%까지 인상해 생계급여를 4인 가구 기준 매월 200만원 이상 지원하도록 한다.
또 장애인 대상으로는 발달장애인 주간활동 서비스 지원 인력을 확대하고, 일자리를 크게 늘린다는 구상이다.
  | 
수도권 1극 체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지역 균형발전에도 적극 나선다.
수도권으로부터 거리가 멀수록 지원을 늘리겠다는 건데, 그 일환으로 아동수당과 노인일자리 등 7개 재정사업을 비수도권 지역에서 더 많이 지원받을 수 있도록 조치한다. 지역이 성장 중심이 돼 '5극 3특 체제'로 바뀔 수 있도록 지방우대 재정 원칙을 도입하겠다는 것이다. 또 인구감소지역 주민들의 경우 월 15만원 농어촌 기본소득도 지급한다.
이 대통령은 "내년은 'AI 시대'를 열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백년을 준비하는 역사적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비록 여야 간 입장 차이는 존재하지만 국민과 나라를 위하는 진심은 다르지 않다고 믿는다. 이번 예산안이 법정기한 내에 통과돼 새로운 미래로 나아갈 수 있도록 초당적인 협력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