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군, 동측 유방 재발률 비MRI군보다↓
호르몬 수용체 음성 환자군서 효과 뚜렷
|
5일 하수민·연희라 서울대병원 영상의학과 교수, 김홍규 유방내분비외과 교수팀은 50세 이하 환자의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이 수술 전 MRI로 재발 위험이 낮아진다고 밝혔다. 결과는 영상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래디올로지(Radiology)'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2011~2017년까지 유방암 수술을 받은 50세 미만 환자 4414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MRI 시행 여부에 따른 장기 예후를 비교했다. 전체 환자를 MRI군(4118명)과 비MRI군(296명)으로 나눠 나이·병기·종양 크기 등 주요 변수들을 통계적으로 보정하고 중앙값 7.7년간 후향적으로 추적했다. 그 결과, 전체 재발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동측 유방 내 재발률은 MRI군이 1.6%로 비MRI군(3.35%)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
연구팀은 "재발 위험이 높고 호르몬 치료 반응성이 낮은 호르몬 수용체 음성 유방암의 경우, 수술 전 MRI 검사가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을 돕고 재발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 이외에 장기 생존율, 구역(림프절 및 근처 부위) 재발률, 반대측 유방 재발률, 원격 전이 발생률에서는 수술 전 MRI 시행 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하수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젊은 유방암 환자의 MRI 결과를 장기 추적한 것으로, 특히 호르몬 수용체 음성 그룹에서 수술 전 MRI의 뚜렷한 재발 예방 효과를 확인했다"며 "이 결과는 50세 이하 유방암 환자를 위한 선택적 MRI 적용 근거를 마련하고, 종양 유형에 따른 영상 검사 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사진 왼쪽부터] 영상의학과 연희라, 하수민 교수, 유방내분비외과 김홍규 교수](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1m/05d/20251105010003908000226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