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다카이치 내각, 첨단산업과 반도체분야 드라이브 본격화... 한일간 경쟁·협력 촉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5010002427

글자크기

닫기

최영재 도쿄 특파원

승인 : 2025. 11. 05. 13:00

미중 기술경쟁 속에서 한일은 미래 산업 주도권 다툴 전망
AKR20251105026100003_02_i_P4
한일간의 첨단산업 협력: 장덕현 삼성전기 사장(오른쪽)과 이와타 케이이치 스미토모화학 회장이 4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글라스 코어 제조를 위한 합작법인 설립 업무협약식(MOU)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다카이치 내각은 올해 첨단산업과 반도체 분야에서 일본 경제의 재도약을 이루기 위한 정책 드라이브를 본격화하고 있다. 한편 한국은 메모리 반도체와 집적회로 설계 부문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첨단산업과 반도체 분야 등 미래산업 주도권을 놓고 한일 양국의 경쟁과 협력이 주요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일본은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산업에서 전통적 강점을 갖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첨단산업 생태계 구축과 기술혁신에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와 R&D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 특히 일본 내 생산능력 강화와 핵융합, 차세대 에너지 기술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기업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고 있다. 이는 다카이치 총리가 강조하는 경제 안보 및 기술 자립 정책의 핵심이다.

다카이치 내각의 산업 정책은 미중 간 첨단기술 경쟁과 공급망 재편이라는 국제 정세를 배경으로 한다. 일본의 소재·부품·장비 기술과 한국의 대량 생산 및 설계능력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심화시키고 있다. 양국은 경쟁 속에서도 서로의 강점을 살린 협력 모델 구축을 모색 중이다. 최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일본 기업과 반도체 패키징과 소재 분야에서 협력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한일 양국은 첨단기술 주도권 확보와 국제표준화 경쟁에서 협력과 경쟁이 교차하는 복합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일본은 AI, 수소 에너지, 스마트 제조 등 4차산업혁명 핵심분야에 정부 주도 하에 집중 투자하고 있다. 한국 역시 민관 합동으로 연구개발과 투자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와 기술산업 생태계 강화를 목표로 한다.

다카이치 총리는 '여자 아베'로 불리며, 아베 신조 전 총리와 비슷한 정책 스타일과 보수적 정치 노선을 유지하고 있다. 그녀는 일본의 경제 자립을 위해 첨단기술 개발과 동시에 국내 산업 기초를 강화하는 데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고 있다. 이는 한일 양국의 첨단산업 경쟁 관계에 있어서도 중요한 정책 방향으로 작용한다.

특히 일본은 대규모 R&D 투자와 정부가 주도하는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집중하면서, 첨단 부품 및 장비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기술과 탄소 배출 감축 목표에 부응하는 기술 혁신 투자도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일본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핵심 역할을 유지하고, 기술 주권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다.

반면 한국은 첨단산업 분야에서의 기술 혁신과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해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와 전자부품 대량 생산 능력, 차세대 패키징 기술 등에서 일본과 경쟁하면서도 협업 가능성도 동시에 열어두고 있다. 이는 공급망 리스크를 줄이고, 글로벌 시장에서 양국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미일 간 첨단기술 협력이 급증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한미일 삼각 협력 구도 속에서 일본과의 관계 설정에도 신중을 기하고 있다. 미중 기술 경쟁과 글로벌 경제 안보 환경 변화가 심화하는 가운데, 한일 간 경쟁과 협력 양상이 동시에 확장될 전망이다. 미래 첨단산업과 반도체 분야에서 협력 강화는 기술 주도권 확보와 시장 확대, 그리고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에 모두 중요한 과제로 자리 잡고 있다.



최영재 도쿄 특파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