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벤처투자 40조 시장 조성… 매년 창업기업 6000곳 키울 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6010002815

글자크기

닫기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11. 05. 18:01

한성숙 중기장관 취임 100일 간담회
모태펀드 출자 예산 2배 이상 확대
역대급 R&D 예산 2조2000억 투입
M&A형 기업승계 특별법 제정 추진
한성숙취임100일
한성숙 중기부 장관이 5일 서울 강남구 팁스타운 S1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제공=중기부
"취임 후 100일간은 회복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중소기업·소상공인의 성장에 집중하겠다. 향후 정책방향을 어게인(Again) 벤처붐·중소기업 스케일업·활기찬 소상공인·연결과 융합의 기업 생태계 조성 총 4가지로 잡았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5일 서울 강남구에 있는 팁스타운 S1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이 같이 밝혔다. 한 장관은 먼저 벤처투자 시장 40조원 조성 로드맵을 밝혔다. 민간 투자 촉진을 위해 연기금·퇴직연금 등 벤처펀드 출자를 허용하고 금융권·국민 등의 벤처투자를 위한 다양한 제도를 마련한다는 것이다. 중기부는 모태펀드 출자 예산을 2배 이상 확대하고 존속기한을 연장한다.

청년창업가 1000개사, 팁스(TIPS) 선정기업 1200개사 등 유망 창업기업을 매년 6000개사 이상 육성해 '모두의 창업' 시대를 개막한다. 이를 위해 '케이 스타트업' 포털에 경영지원 등의 기능을 고도화해 스타트업의 첫 번째 창구로 정립한다.

인공지능(AI)·딥테크 벤처·스타트업 집중 육성을 위해 13조5000억원의 '넥스트 유니콘 프로젝트'를 내년에 본격 가동하고 '오픈 데이터 엑스 AI 챌린지' 개최 등을 통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AI 서비스 개발을 추진한다.

역대 최대의 R&D(연구개발) 예산 2조2000억원을 돈이 되는 R&D에 집중 투자한다. 1조1000억원을 팁스 방식 R&D로 추진해 벤처캐피털이 선 투자한 스타트업을 정부가 성장단계별로 매칭 지원한다. 한국형 미국식 중소기업 기술이전 프로그램(STTR) 제도 신설 등 기술사업화를 위한 R&D에도 2000억원을 배정한다.

뿌리부터 첨단까지 지역 기반 인공지능 전환(AX) 대전환을 추진한다. AI 중심 스마트 공장 1만2000개를 기업 수준에 맞게 맞춤형으로 보급한다. 제조 AI 기술을 공급하는 전문기업을 500개사 육성하고 제조 AI R&D도 추진해 제조 AI솔루션을 매년 100개 이상 발굴한다.

케이 소프트파워를 활용해 수출국가를 다변화한다. 케이 소프트파워 전략 품목을 올해 말 100개, 2030년까지 500개를 육성해 정부·앵커기업이 함께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한다.

중소기업 성장 사다리 강화를 위해 여러 제도를 정비한다. 제3자 인수합병(M&A) 방식의 기업승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가칭) M&A형 기업승계 특별법' 제정 등을 추진한다. 중소기업 제품 의무구매 기관을 50% 확대하는 등 공공조달 혁신도 추진한다. 유망 중기업의 신사업·시장 진출 등을 지원하는 점프업 프로그램을 2030년까지로 연장하고 매년 100개사를 선발·지원한다.

선제적 위기 대응 체계를 구축해 소상공인의 재기지원을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대출 보유 소상공인 약 300만 명을 지속 모니터링하면서 선제적으로 위기징후를 포착한 후 경영진단을 통해 위기 수준을 분석한다. 지역상권 르네상스 2.0을 추진하고 대기업·중소기업·스타트업·소상공인이 연결된 융합 생태계를 조성한다.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