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한국거래소와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코스닥 시장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총 1조9072억원으로 집계됐다. 시장별로는 코스피 1조5790억원, 코스닥 3282억원이다.
이는 2차전지 테마 열풍의 후유증으로 코스닥 시장이 급등락을 반복했던 2023년 7월 26일(2조3600억원) 이후 가장 큰 규모라고 거래소는 밝혔다.
지난 5일 넥스트레이드까지 포함한 국내 주식시장 전체 거래대금은 52조9427억원으로 이 중 공매도 비중만 3.6% 수준이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의 공매도가 1조2769억원으로 전체의 67%를 차지했다. 기관이 32.1%(6120억원)로 뒤를 이었고 개인은 183억원으로 전체의 1%에 불과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예상해 주식을 빌려 매도한 뒤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낮은 가격에 다시 사들여 되갚는 방식으로 차익을 얻는 투자 기법이다. 주가 적정성을 높인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투기성 거래가 과도한 하락을 유발할 수 있다는 비판도 꾸준히 제기돼 왔다.
금융당국은 2023년 11월 무차입 공매도 적발 이후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고 올해 3월 31일 중앙점검시스템(NSDC) 구축 등 제도 개선을 마친 뒤 거래를 재개했다.
공매도 재개 직후인 4월 일평균 거래대금은 8245억원이었으나 코스피 상승세가 본격화한 6월에는 1조61억원으로 늘었다. 이후 7월 9970억원, 8월 8767억원, 9월 8289억원으로 완만히 감소했지만 10월 들어 일평균 1조3123억원으로 반등했다. 11월 들어서는 일평균 1조6401억원까지 늘며 공매도 압력이 한층 높아진 양상을 보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