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인터뷰]“더채움 ‘하루한줌 E25g 견과’ 세계 첫 개발…저온로스팅 공법 특허”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06010003556

글자크기

닫기

고양 오세은 기자

승인 : 2025. 11. 09. 12:00

"견과류 이용한 종합식품 개발 목표"
권영기 더채움 대표 "질소 충전하는 포장 시스템 구축해 쩐내(산패) 없는 품질 유지"
1
권영기 더채움 대표가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진밭로에 있는 더채움 본사에서 제품 설명을 하고 있다./사진=오세은 기자
"좋은 제품을 오래 담는 회사를 만들고 싶습니다."(권영기 더채움 대표)

더채움은 기름에 튀기지 않고 소금으로 덮어쓰지 않는 제조철학과 과학적 품질관리, 특허 기술을 바탕으로 '하루한줌 E25g 견과'를 세계에서 처음으로 개발·출시한 견과류 전문 제조업체이다.

1998년 부림농수산으로 출발한 더채움은 2000년 서울 강남구 일원동으로 이전해 MNT푸드로 상호를 변경하며 제조업을 본격화했고 2008년에는 고양시 설문동에 공장을 신축·이전하며 더채움푸드시스템으로 새롭게 도약했다. 2014년 법인 전환을 통해 더채움으로 거듭났으며 같은 해 서울 가락동에 자회사 알지식품을 설립해 유통망을 확장했다.

지난 6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진밭로에 있는 본사에서 만난 권영기 더채움 대표는 "1984년 견과류 제조회사에서 13년정도 근무했는데 견과류를 만드는 과정을 보니 불만이 많았다"며 "당시 기름에 견과류외 소금을 많이 넣고 튀기는데 견과류는 45%에서 65%까지 지방인데 지방이 많은 걸 기름에 튀기는 걸 이해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는 "전문기관에 의뢰한 논문 30편을 분석한 끝에 서양의 염분섭취 구조를 무비판적으로 모방한 국내 관행이 한국인의 건강에 맞지 않는다는 결론에 이르렀고 '건강한 견과의 본질' 연구를 평생의 과제로 삼았다"며 "직장에 다니다 IMF로 퇴직하고 1998년 창업했는데 3년정도 했는데 돈은 벌지만 성취감이 없어 보람이 없었다"고 설명했다.

더채움은 2023년 경기도 고양시 성석동 부지 10000㎡, 건물 4000㎡ 규모의 신공장을 완공했는데 자동화율 80%, 항온항습·질소라인·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설비를 완비했다. 이같은 단계적 확장은 '유통만으로는 건강한 변화를 만들 수 없다'는 권 대표의 철학에서 비롯됐다. 더채움은 자체 기술력과 품질표준을 내재화하며 제조 중심의 성장을 이어왔다.

권 대표는 "수년간 수백 차례의 실험 끝에 150℃ 이하에서 90~100분간 진행되는 저온로스팅이 불포화지방을 지키고 씹을수록 단맛이 살아나는 최적의 조건임을 규명해 저온로스팅 공법을 특허화 했다"며 "천일염수 초미세 분사 기술을 적용해 염도를 정밀 제어하는 가염 유닛(염도자동조절장치)을 개발했으며 전 공정 항온·항습 자동제어(20℃·RH45%)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기 중 산소를 분리해 질소 충전하는 포장 시스템을 구축해 소비기한 1년이 지나도 쩐내(산패) 없는 품질을 유지하는 기술력은 더채움만의 표준"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과거 국내 견과시장은 짠맛과 기름 맛에 의존한 대용량 제품이 주류였는데 외화를 들여 수입한 견과가 오히려 산패·염분 과다로 국민 건강을 해치는 악순환이었다"며 "더채움은 이를 타파하기 위해 '하루 한봉 25g(하루견과)' 단위 적정섭취 개념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영양 균형과 섭취 편의성을 확보하고 가방·차량·책상 어디서나 간편하게 소비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 제품은 폭발적인 시장 성장과 함께 국민 건강에 기여했다"며 "이로 인해 견과류 산업 전체가 급성장했고 국내 고용 창출, 자동화·포장·박스 등 연관 산업도 발전하면서 동남아 수출 확대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권 대표는 "지금 신제품을 개발 중으로 견과류 말고 견과류를 이용한 종합식품, 우리나라의 콩류를 이용한 견과류랑 컬래버레이션 할 수 있는 제품, 노인층이 늘어나니 부드러운 제품개발도 하고 싶다"며 "내년에는 매출 150억원이 목표"라고 밝혔다.

1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진밭로에 있는 더채움 공장 모습. /사진=오세은 기자
오세은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