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청 폐지 등 3대 개혁 강 드라이브
당정 엇박자 논란에 몸 낮춘 행보 선회
간담회 관례 깨고 유기견 보호소 찾아
|
정 대표는 지난 8월 취임 직후부터 '검찰·사법·언론 3대 개혁'을 내걸고 속도전을 폈다. 그는 "추석 귀경길에 검찰청 해체 뉴스를 들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공언했고, 실제 지난 9월 검찰청 폐지를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현재 방송3법(방송법·방송문화진흥회법·한국교육방송공사법) 입법을 완료하고, 허위조작 보도에 대한 징벌적 손해배상을 담은 정보통신망법 개정안도 추진 중이다. 여기에 여당 주도로 2차 상법 개정안과 노란봉투법 등 경제 입법도 국회 문턱을 넘었다.
이 같은 행보는 강성 지지층의 '환호성'을 끌어냈다. 다만 정 대표의 '강공 드라이브'는 대통령실과 갈등, 중도층 이탈 등의 부작용도 초래했다. 특히 '재판중지법' 추진을 두고 민주당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직후 법안을 '국정안정법'으로 명명하며 밀어붙이자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이 직접 제동을 걸기도 했다. 강 실장은 "헌법상 당연히 재판이 중지되니 입법이 필요하지 않다"며 "대통령을 정쟁에 끌어들이지 말라"고 했다.
정 대표의 강경 노선은 국정 운영에 부담을 준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당과 가끔 속도나 온도의 차이가 날 때가 있다"고 했고, 최근에는 부산시당위원장 경선에서 친명(친이재명)계 인사 유동철 부산 수영구 지역위원장이 컷오프(공천 배제)되면서 갈등설이 재점화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영입한 인사가 경선 기회조차 얻지 못하면서 정 대표의 '자기정치' 논란이 일었다. 개혁드라이브 과정에서 김병기 원내대표와의 갈등설이 표출되기도 했다. 3대 특검법 처리 과정에서 소통 문제가 불거지며 김 원내대표가 공개적으로 "정청래한테 사과하라고 하라"라고 밝히는 상황이 연출되기도 했다.
정 대표의 강경 노선이 양날의 검으로 작용하며 개혁 속도전에는 도움이 됐지만 중도 확장성에는 걸림돌로 작용하는 상황이다. 최근 한국갤럽 조사에서는 민주당 지지율이 3주간 12%포인트 급락해 40%가 무너졌다. 미디어토마토가 발표한 여론조사에서는 정 대표의 직무 수행에 대한 부정평가(46.6%)가 긍정평가(45.6%)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 대표는 최근 몸을 낮추는 모양새다. 그는 "지금은 대통령의 시간"이라며 관례적으로 열어온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 대신 유기견 보호소 봉사활동과 소방서 방문으로 대체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