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현지시간)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디인포메이션은 복수의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애플이 당초 내년 가을로 예정했던 아이폰 에어 후속작의 출시를 연기했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이미 엔지니어와 외부 공급망 협력사에 출시 연기 방침을 통보했다. 구체적인 새 일정은 제시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최근 아이폰 에어의 생산라인도 대폭 축소하고 있다.
아이폰 주요 조립업체인 폭스콘은 생산라인 대부분을 해체하고 1개 반만 남긴 상태이며 이달 말까지 생산을 전면 중단할 예정이다. 또 다른 조립업체 럭스셰어는 지난달 말 이미 생산을 완전히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업체는 판매 비중이 가장 높은 프리미엄 모델 '아이폰17 프로' 시리즈에 생산라인 수십 개를 할당, 공급력을 늘리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컨슈머 인텔리전스 리서치 파트너스(CIRP) 조사에서 지난 9월 기준 전체 아이폰 판매량 중 아이폰 에어의 비중은 3%에 불과했다. 같은 시기 출시된 아이폰17 프로는 9%, 아이폰17 프로 맥스는 12%를 각각 차지했다.
지난 9월 선보인 아이폰 에어는 두께가 5.6mm로 역대 아이폰 모델 중 가장 얇았다. 하지만 두께에 집중한 나머지 모노스피커로 사양을 낮추는 등 으로 인해 성능이 떨어진다는 반응이 있었다.
아이폰 에어 후속 모델은 기존보다 무게를 줄이고 배터리 용량을 확대하는 한편, 아이폰17 프로에 적용된 증기 챔버(베이퍼 챔버) 냉각 기술을 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한 관계자는 "애플이 2027년 봄 저가형 아이폰과 함께 아이폰 에어 후속 모델을 선보일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