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구필현 칼럼] 창설 80주년을 맞은 한국 해군, 원자력 추진 잠수함 시대의 개막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11010005544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5. 11. 11. 18:08

-원자력추진 잠수함 승인, 국가 전략산업으로 확장
-인도·태평양의 전략 축으로 떠오르는 'K-해군'
-AI·무인함대 시대, K-방산의 미래를 이끌다

2025093001002787500167271
구필현 국방전문기자
1945년 11월 11일, 해방병단이라는 이름으로 첫 닻을 올린 대한민국 해군이 올해 창설 80주년을 맞았다. 6·25전쟁의 격랑 속에서도 바다를 포기하지 않았던 그 정신은 이제 '대양해군'을 넘어 '전략해군'으로 진화하고 있다. 바다는 더 이상 단순한 국경의 끝이 아니라, 대한민국의 생존과 번영이 달린 국가 전략의 중심 무대가 되었다.

◇해방병단에서 대양해군까지

한 척의 함정도 없이 시작된 해군은 불과 수년 만에 동해와 남해의 방어선을 구축했고, 6·25전쟁에서는 소해정대가 인천상륙작전의 길을 열었다. 그들의 희생이 오늘의 해군을 세웠다. 이후 장보고급 잠수함, 세종대왕급 이지스함, 마라도함으로 이어진 전력 발전은 "연안 방위군에서 세계 10위권 해군으로의 도약"을 이뤄냈다.

이제 대한민국 해군은 함정의 숫자가 아니라 '전략의 깊이'로 평가받는다. 해군은 바다에서 작전하는 병력이 아니라, 한반도 안보와 세계 해양질서를 조율하는 전략적 자산으로 자리 잡았다.

◇원자력잠수함 승인, 국가 전략산업으로 확장

올해는 해군 80년사에서 또 하나의 전환점이다. 미국이 한국의 원자력 추진 잠수함(SSN) 건조를 승인하면서, 대한민국은 심해 작전의 주도권을 손에 넣었다. 이는 한·미동맹이 단순한 군사 협력을 넘어 전략 동맹으로 격상되었음을 상징한다.

핵추진 잠수함은 수개월간 잠항이 가능하고, SLBM을 탐지·추적할 수 있는 '보이지 않는 전략자산'이다. 북한의 핵잠 위협, 중국의 해양세력 확대, 러시아의 태평양 함대 활동이 맞물린 지금, 한국형 SSN은 한반도 주변 해역의 균형을 유지하는 결정적 억제력이 된다.

세계적 수준의 K-조선방산을 대표하는 한화오션과 HD현대중공업,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주도하는 원자력핵추진 잠수함사업은 단순한 무기개발을 넘어, 원자력·소재·AI제어 기술을 통합한 국가 전략산업으로 확장된다. 해군은 이제 기술혁신의 중심이자 미래 산업 생태계의 구심점이 되고 있다.

◇인도·태평양의 전략 축으로 떠오르는 'K-해군'

세계 해양 질서는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미·중 경쟁의 중심이 바다로 옮겨가고, 해상 교통로와 에너지 수송로를 둘러싼 분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런 환경에서 한국 해군은 더 이상 '한반도 방어 해군'이 아니다.

한국형 항공모함(K-CVX), 차세대 구축함(KDDX), 도산안창호급 SLBM 잠수함으로 이어지는 '3차원 해양전력'은 이미 인도·태평양 전략의 핵심 축으로 평가받고 있다. 한국 해군은 미 해군, 일본 해상자위대, 호주 해군과의 연합훈련을 통해 글로벌 해양 동맹의 일원이 되었으며, NATO·EU와의 협력 확대도 추진 중이다.

이제 한국의 함대는 단순한 '국가전력'이 아니라, 자유롭고 열린 해양질서를 지키는 국제공공재로 기능한다.

◇AI·무인함대 시대, K-방산의 미래를 이끌다

다가오는 100년의 해군은 인간이 아닌 데이터와 함께 항해한다. AI기반 지휘체계, 무인수상정(USV), 자율항해 잠수정(AUV), 수중전 네트워크가 결합된 AI 해군 생태계는 이미 현실이 되고 있다. 국내 방산기업들은 AI 해상전투시뮬레이션, 해양 빅데이터, 사이버보안 인증체계를 확보하며 'K-해양방산'의 새 장을 열고 있다. 이 기술혁신은 단순한 전력 강화가 아니라, 한국이 세계 해양안보 산업의 주도국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해군의 전장은 이제 심해에서 우주까지, 그 전략적 깊이가 무한히 확장되고 있다.

◇"바다는 미래다" 대한민국 해군의 새로운 항로

80년의 역사를 넘어, 한국 해군은 이제 미래를 설계하는 단계에 섰다. 해군의 사명은 단순히 바다를 지키는 것이 아니라, 국가의 생존 공간을 확장하고, 미래 세대의 전략적 안전판을 구축하는 일이다. 대한민국 해군은 더 이상 조용한 수호자가 아니다. 그것은 첨단산업, 외교, 에너지, 안보가 교차하는 복합 전략의 중심이다. 바다에서 심해로, 한반도에서 세계로! 대한민국 해군의 다음 100년은 이미 시작되었다.

구필현 국방전문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