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선 당시부터 인공지능(AI) 3대 강국'을 외쳐온 이번 정권에서 임기 초기 대규모의 GPU 확보는 AI 정책의 중대한 분기점이 될 전망이다. 선박을 통해 국내로 들어올 예정인 GPU는 향후 5년간 민관을 가리지않고 공급, 우리나라를 세계에서 3위 수준의 GPU 보유국으로 도약시킬 수 있는 자원이기 때문이다.
특히 미국과 중국을 비롯한 강대국을 위시하는 AI 패권 경쟁이 날이 갈수록 치열해지며 GPU의 품귀 현상도 덩달아 심화되는 가운데, 한마디로 '없어서 못 사는' 자원을 꾸준히 얻을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한 셈이다.
하지만 이번 GPU 확보는 정부가 외친 AI 강국 도약을 위한 전제 조건을 구축한 것에 그 의미를 한정지을 필요가 있다.
우선 지난 몇 년간 가속화되고 있는 인력 문제가 급선 해결 과제다. 국내 연구개발 환경과 처우 등의 문제로 외국으로 떠나는 이공계 인력을 잡지 못한다면 GPU를 가져온다 한들, 정작 연구 현장에서 활동하는 인적 자원은 부족한 미래는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세계 3위 수준의 GPU 공급이 예정된 가운데, 해당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 구축 여부 역시 따져봐야 한다. 쓰이게 될 GPU가 늘어나면서 AI 데이터센터 등 관련 시설의 증설이 예정된 수순이지만, 이를 감당할 수 있는 전력 공급이 가능한지 충분히 고민해야 할 문제다. 특히 AI 데이터센터의 경우, 밤낮을 가리지 않고 가동되기에 보다 과감한 접근이 필요하다.
과거 동북아 지역의 패권국으로 군림했던 청나라는 19세기 후반 서구 열강과의 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해 '양무운동'을 전개, 적극적인 서양 문물 도입에 열을 올렸다.
하지만 신식 군사 장비 수입가 활발했던 것에 반해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인재 양성과 교육은 부족했으며, 사회 전반의 의식 변화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결국 쇠락하는 국운을 반등시킬 수 있으리라 여겨졌던 막대한 군비 투자는 허사가 돼 청나라는 순식간에 후진국으로 전락, 제국주의 시대의 희생양이 됐다.
자원의 확보와 그것을 어떤 결과물로 만들어 내는가는 또 다른 차원의 이야기다. AI 강국을 향한 우리나라의 도전 중 첫 단계인 자원 확보, 즉 GPU 공급 문제는 해결됐지만 풀어나가야 할 과제는 아직 산적해있다.
26만장의 GPU라는 값진 자원을 확보한 것은 분명 기념비적인 성과다. 하지만 이를 AI 강국의 밑거름으로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과 노력이 앞으로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수 있는 더 가치 있는 자원임을 기억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