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기관지 노동신문은 14일 최 외무상의 'G7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주권적선택을 거스를 권리가 없다' 제목의 담화를 보도했다. 노동신문에 따르면 최 외무상은 "우리 국가 헌법에 대한 직접적 침해로 되는 G7 외무상들의 노골적인 적대적 행위에 강한 불만과 유감을 표시한다"며 "세인이 실현 불가능한 개념이라고 인정하는 '비핵화'를 아직까지도 습관적으로 합창하는 G7의 타성적인 집념은 스스로를 국제사회의 변두리로 몰아가고 자기들이 국제관계의 한구석에 놓이는 소외된 소수 이익집단임을 증명해 보일 뿐"이라고 비난했다.
최 외무상은 "오늘 엄혹한 지정학적 환경 속에서 핵보유는 가장 위험하고 적대적인 국가들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한 선택"이라며 "외부의 핵위협이 종식되지 않는 한, 핵을 폭제의 수단으로 삼고 절대적인 패권을 추구하는 세력이 존재하는 한 핵보유를 영구화한 헌법에 끝까지 충실함으로써 국가와 인민의 현재와 미래를 담보하고 국제적 정의를 실현하려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의지는 확고부동하다"고 강조했다.
최 외무상은 G7 세계 최대의 핵보유국을 위시해 핵으로 연결되고 결탁된 핵동맹집단이라고 비판했다. 최 외무상은 북한에 대한 비핵화 요구는 '현실도피적이며 이중기준적인 처사'라고 했다.
최 외무상의 이번 담화는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핵화 여론 확산을 차단하고 대북제재의 무용론과 핵보유국의 정당화에 집중하겠다는 의도라는 평가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는 "비판대상에 미국을 직접 거명하지 않고 핵위협론, 핵보유 헌법화론을 강조한 것은 핵보유국 대 핵보유국이라는 북미 간 핵군축협상을 염두에 둔 듯하다"고 분석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은 G7 비핵화 결의를 단순히 '반박'하는 수준이 아니라, 핵보유국 지위 홍보 모멘텀으로도 활용하고 있다고 관측했다. 임 교수는 "북한은 핵보유를 단기적인 전략이 아닌 국가와 인민의 미래를 담보하는 장기적인 전략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했다. 핵보유는 단순한 현상 유지용이 아닌 미래 지향적인 접근임을 지속적으로 시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어느 나라든 '비핵화'라는 단어를 쓰는 한 북한은 오히려 '우리는 핵보유국'이라는 것을 홍보하는 반격의 계기로 활용할 것"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