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한 호국합동상륙훈련에서 K1A2 전차가 상륙해안에 접안한 상륙함(LST-I)에서 하선해 상륙하고 있다. /해병대
해군·해병대가 총 병력 2400여명이 참가하고, 상륙함, 호위함, 초계함 등 함정 20여척, 해병대 상륙돌격장갑차(KAAV) 15대, 상륙기동헬기(MUH-1) 6대 등이 투입되는 2025년 호국합동상륙훈련을 20일까지 경북 포항 일대에서 실시한다.
훈련은 상륙작전 수행단계에 따라 탑재, 연습, 작전 수행지역으로 이동, 해상돌격·공중돌격 등의 결정적 행동 순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후 육상작전으로 전환해 지상작전사령부와 종심지역 핵심시설 타격 임무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공군작전사령부(전투임무기, 수송기)·육군 특수전사령부·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드론작전사령부 등의 전력이 참가하여 합동성을 높인다.
6
0
17일 경북 포항일대에서 실시한 호국합동상륙훈련에서 해병대원들이 상륙해안에 도착해 하차전투를 실시하고 있다. /해병대
훈련은 최근 전쟁 양상과 전훈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훈련과제를 선정하고, 적용해 상륙작전을 수행함에 있어 다변화되는 위협에 대응하는 능력을 높인다.
17일 경북 포항 독석리 해안에서 KAAV와 상륙정(LCM)을 이용한 해상돌격,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을 이용한 공중돌격 연습을 실시했다. 작전 수행지역으로 이동 간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은 드론으로 모사된 적 무인기의 공격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실사격 훈련을 펼쳤다. 18일엔 결정적 행동을 실시, 이를 통해 상륙 절차를 연습했다.
훈련기간 해군·해병대는 합동지속지원훈련과 연계해 상륙기동헬기 긴급재보급과 군수품 수송드론 운용, 장비 및 물자 해상환적 등 다양한 수단을 이용한 군수지원 훈련을 병행했다.
상륙군 지휘관인 채세훈 해병대 1사단 3여단장(대령)은 "이번 합동상륙훈련을 통해 상륙작전 임무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합동전력 운용능력을 한층 더 강화할 수 있었다"며 "임무가 부여되면 언제, 어디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대응할 수 있는 능력과 태세를 갖추겠다"고 말했다.
1
0
17일 경북 포항에서 열린 호국합동상륙훈련에서 상륙정에 탑태된 K1A2 전차가 해군 상륙함 천왕봉함에서 상륙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해병대
해병대는 훈련기간 작전지역 확보를 위한 지상작전과 WMD(대량살상무기) 제거 작전, 지상작전사령부 연결작전 등을 수행하며 제대별 임무수행능력을 강화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