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드론·IoT로 생활불편 해결 5개 지역혁신 과제 성과 공개
|
행정안전부와 한국지역정보개발원은 20일 서울 마포구 한국지역정보개발원에서 '2025년 데이터 기반 지역문제 해결사업(공감e가득)' 성과공유회를 연다고 19일 밝혔다.
공감e가득 사업은 주민·지방정부·기업이 함께 인공지능(AI)과 드론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지역 현장의 문제를 풀어가는 '주민체감형' 프로젝트다. 올해는 지난 4월 공모를 통해 교통약자 이동권 개선, 외국인 정착지원, 농업 생산성 제고 등 주민의 생활과 밀접한 과제 5개가 선정됐다.
서울 은평구는 AI·IoT 기반으로 전동휠체어·전동스쿠터의 이동 중 사고 위험을 실시간 감지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교통약자 이동안전을 강화했다. 기기 전복 가능성이나 위험구간 접근을 자동 감지해 사용자에게 경보를 주는 방식이다.
울산시는 AI 기반 외국인 정착지원 플랫폼으로 언어 번역과 생활정보 제공 기능을 통합해 외국인·다문화가정의 정보 접근성을 높였다. 일상 행정 안내부터 긴급 상황 대응까지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경기 하남시는 불법 오토바이 AI 단속 서비스를 도입해 공원 내 과속·불법 운행을 효율적으로 잡아내 보행자 안전을 확보했다. 전남 강진군은 스마트 낚시 관광 플랫폼을 통해 전자승선명부를 안전관리 시스템과 연동해 낚시객 관리와 지역 관광 활성화를 함께 이끌었다. 제주도는 드론 방제 자동화 시스템으로 농업 해충 방제를 정밀화해 고령 농가의 노동 부담을 줄였다.
성과공유회에서는 주민 온라인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통해 우수과제를 선정해 대통령표창, 국무총리표창, 행정안전부장관상, 한국지역정보개발원장상 등을 시상한다. 행안부는 우수사례를 전국에 확산하기 위해 '2025년 공감e가득 사례집'도 제작·배포할 계획이다.
박연병 행안부 차관보 직무대행은 "성과공유회를 통해 기술이 주민 생활 속 불편을 실제로 해소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며 "앞으로도 생활밀착형 행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