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폴리텍대-카이스트, ‘피지컬AI’ 인재 키운다…제조 AI 생태계 구축 맞손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0010010895

글자크기

닫기

김남형 기자

승인 : 2025. 11. 20. 16:16

로봇·센서·설비와 AI 결합한 '피지컬AI'…현장 중심 융합인재 육성
공동 연구·교육·창업 플랫폼 협력…제조업 AI 전환 속도
포럼서 X-AI 기반 기술인재 전략 논의
KakaoTalk_20251120_150325972
이철수 한국폴리텍대학 이사장(오른쪽)과 이광형 한국과학기술원 총장이 11월 20일 서울시 강남구 코엑스에서 '피지컬AI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폴리텍대학
한국폴리텍대학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카이스트)이 '피지컬 인공지능(AI)' 분야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을 모은다.

폴리텍대학은 2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카이스트와 피지컬AI 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기술 교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피지컬AI는 로봇·센서·제조 설비 등 물리적 장비와 인공지능을 결합해 실제 산업 현장에서 작동하는 AI 기술을 뜻한다. 단순 알고리즘이나 소프트웨어 개발을 넘어, 공장 자동화·정밀제조·로보틱스·스마트공정 등 물리적 프로세스에 AI를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이 때문에 제조업 기반 국가에서 경쟁력을 좌우할 기술로 꼽힌다.

이번 협약은 정부가 추진하는 '모두의 AI', 'X-AI 융합 인재 양성' 정책 방향에 맞춰, 연구와 현장을 아우르는 교육 체계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 기관은 인적 교류와 공동연구, 피지컬AI 우수 인재 교육, 시설·장비를 활용한 창업 지원, 제조 AI 관련 정책연구 등으로 협력 범위를 넓힌다.

폴리텍대학은 로봇·센서·AI 융합 실무교육을 고도화해 학생들의 산업 현장 참여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KAIST는 연구 중심 기술을 산업현장으로 확산해 '현실 세계와 결합한 AI' 수요에 대응한다는 구상이다.

양 기관은 같은 날 열린 '2025 피지컬AI 글로벌 포럼' 연계 세션에서 인재 양성 전략도 논의했다.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는 'AI 전환기 융합인재 확보 방안'을, 이혜정 폴리텍대학 교수는 'X-AI 기반 기술 인재 양성 전략'을 각각 발표했다. 이어 '피지컬AI 패러다임에서의 폴리텍대 도전과 기회'를 주제로 현장 토론이 진행됐다.

이철수 폴리텍대학 이사장은 "젠슨 황이 국내 대기업 총수들과 회동한 것처럼, 이번 협력은 현장 전문성과 연구기술을 결합해 피지컬AI 생태계를 선도하자는 의미가 있다"며 "두 기관 역량을 완전히 결합해 산업현장 중심의 AI 전문인재를 키우겠다"고 말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AI는 이미 물리 세계와 결합하며 산업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며 "연구기술의 현장 확산과 융합형 인재 양성에 폴리텍대학과 함께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김남형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