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서 대형 항공기 7대 동시 정비 가능해져
통합 항공사 출범 앞두고 안전관리 집중
|
대한항공은 이에 앞서서도 엔진 정비공장, 항공안전 및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연구개발 센터 건립으로 인프라 투자를 확장해왔다. 현재 기체부터 엔진, 부품을 아우르는 통합 정비 체계를 갖춘 만큼 대한민국 대표 항공사로서 항공기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경쟁력 제고에 앞장설 계획이다.
24일 대한항공은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첨단복합항공단지 정비시설(H3) 개발사업 실시 협약'을 체결했다. 1760억원을 투자해 인천국제공항 내에 신규 정비 격납고를 구축하며 효율적인 정비 지원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현재 대한항공은 인천공항에서 중대형 항공기 2대, 소형 항공기 1대 동시 정비가 가능한 정비시설을 운영중이다. 또 아시아나항공도 중대형 3대, 소형 1대 정비가 가능한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여기에 이번에 중대형 항공기 2대 및 소형 항공기 1대 동시 주기·정비가 가능한 격납고를 신설, 정비 역량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대한항공은 현재 인천 외에도 김포, 부산에 위치한 격납고에서 24시간 항공기 정비를 하고 있다. 다만 아시아나항공과의 통합 항공사 출범과 LCC통합 이후에는 300대 이상의 항공기를 운영해야하는 만큼 안전 관리를 위해 선제적으로 시설을 늘리는 것으로 풀이된다.
신규 정비격납고는 인천국제공항 첨단복합항공단지 내 6만9299㎡(약 2만1000평) 부지에 건립된다. 2027년 착공을 시작해 2029년 말 가동을 목표로 한다. 격납고가 완공되면 대한항공의 숙련된 정비 인력을 포함해 300여 명이 상주하는 중정비 및 개조 중심 시설로 탄생할 계획이다.
또한 앞서 국토교통부는 국내 항공기 유지보수정비(MRO) 시장 규모를 2030년까지 5조원으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한항공은 이번 신규 투자로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갖춘 정비 전문성과 사업성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MRO 사업 경쟁력 제고에 힘쓰겠다는 구상이다.
정비 시설 추가 확충에 앞서 대한항공은 5780억원을 투자해 아시아 최대 엔진정비공장을 건립중이고, 경기도 부천에는 1조2000억원 규모의 '미래항공교통(UAM) & 항공안전 연구개발(R&D) 센터' 신설을 추진하며 통합 항공사의 안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또한 대한항공은 보잉, 에어버스 등 세계적 항공기 제작사와도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세계적으로 MRO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보잉과는 민간 항공기 부품을 제작하는 한편 구조물 국제공동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또 에어버스와는 A320시리즈 성능개선사업에서 샤크렛 제작사로 최종 선정된 이후 꾸준히 공급을 지속해오고 있다. 이외에도 최근 양사 모두와 예지정비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우기홍 대한항공 부회장은 "정비 격납고는 단순한 건물이 아닌 안전의 요람이며, 대한항공의 최우선 가치인 '절대적인 안전'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기반시설"이라면서 "새로운 격납고가 가장 쾌적하고 안전한 정비 기지, 항공 안전의 산실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설계 단계부터 세심하게 챙겨 나가겠다"고 전했다.








![[사진2] (5)](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1m/25d/202511240100211740012437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