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사설] 여야 무차별 당원권 확대, ‘강성 팬덤’ 정치 우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4010012594

글자크기

닫기

 

승인 : 2025. 11. 25. 00:00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2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무위원회에서 논의될 '당원 1인 1표제' 관련한 이언주 최고위원의 제고 요청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여당과 야당이 경쟁하듯 당원권 강화에 나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의원과 권리당원 동등 1인 1표제' 도입, 국민의힘은 '당원 투표 반영 비율 상향' 조정으로 각각 당헌·당규 개정을 서두르고 있다. 여야의 당원권 강화는 이른바 '개딸'과 '윤어게인'으로 대변되는 '강성(强性) 팬덤' 정치로 이어질 게 분명하다. 이는 결국 허위 정보와 혐오를 기반으로 정치적 양극화 심화라는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23일 "이재명 정부의 국민 주권 시대에 걸맞게 당원 주권 시대로 화답해 달라"며 1인 1표 도입 강행 입장을 밝혔다. 앞서 민주당 최고위원회의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표 반영 비율을 현행 20 대 1 이하에서 1 대 1로 변경하는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했다. 최근 당원 여론조사에서 1인 1표 관련 안건에 86.8%가 찬성한 데 따른 것이라고 한다. 한쪽으로 과도하게 치우치지 않게 정당의 평형추 역할을 해온 대의원의 권한이 무력화되면서 '당심'을 무기로 한 강성 지지 당원에게로 무게중심이 쏠릴 수밖에 없게 됐다. 당권을 쥔 당 대표를 중심으로 강성파 위주의 줄 세우기가 심화할 것이다. 하지만 당내 반발이 거세 24일 당무위원회를 일단 통과시키고 다음 달 28일로 예정된 중앙위원회 통과를 일주일 미루는 등 속도조절에 들어갔다.

국힘 지방선거총괄기획단도 최근 전체회의를 열고 내년 지방선거 경선 시 현행 '당원 선거인단 투표 50%, 여론조사 50%'에서 '당원 70%, 여론조사 30%'로 변경하기로 했다. 여당과 마찬가지로 평균 여론이 아닌 강성 지지자들에게로 균형추를 움직이겠다는 의미라 하겠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당심과 민심의 괴리가 큰 상황에서 강성 지지층에 쏠린 전략은 중도층 이탈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여야의 당원권 강화는 양당 대표의 최근 언행이 극단으로 치닫고 있다는 점에 그 심각성이 있다. 정 대표는 최근 "(친민주당 성향) 딴지일보가 민심의 척도"라는 등 자신의 지지 기반인 강성 팬덤에 대한 노골적인 구애 모습을 감추지 않고 있다.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도 강성 지지층을 업고 당 대표가 됐다는 태생적 한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여야 대표가 모두 강경 지지 세력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보니 결국 당원권, 즉 당성 강화로 이어졌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여야의 당원권 강화가 강경 팬덤 정치로 이어지게 되면 대의정치를 기반으로 하는 공평한 정당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릴 수밖에 없다. 강(强)대강(强) 극한 대립으로 인해 합리적 토론이 마비되면서 사회적 갈등이 야기될 가능성도 높다. 그렇지 않아도 고환율·고물가·고이자 등 3고(高) 경제난에 시달리고 있는 국민을 정치적 극단의 구덩이로 몰아서는 곤란하다. 여야는 정치가 소수의 강성파를 위한 게 아닌, 모두를 위한 것이라는 본연의 자세를 망각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