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현장에서 본 ‘응급실 뺑뺑이’ 문제…“고령화로 더 심화될 것”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4010012598

글자크기

닫기

이정연 기자

승인 : 2025. 11. 24. 17:52

늘어나는 만성질환자 응급실 채워
"다발성 손상 의료체계 방안 찾아야"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 관계자들이 지난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현장 소방관과의 대화에 나서라"며 회견하고 있다./연합
부산 도심에서 고등학생이 응급실을 찾지 못해 숨지며 '응급실 뺑뺑이' 문제가 재점화되는 가운데 현장에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응급의료시스템 전반을 재점검해봐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응급실 내에선 고령화 등에 따른 암과 같은 만성질환자가 증가하면서 긴급한 외상환자나 소아 환자를 받기 더욱 어려워지는 데다 배후 의료진 부족, 필수의료에 대한 부족한 수가 책정 등 해묵은 문제도 개선되지 않으면 향후 사태가 더욱 심각해질 것이란 전망이 제기된다.

24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의료현장에서는 '응급실 뺑뺑이'의 원인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암 환자 및 중증 만성질환자의 응급 의료 수요와 이를 감당할 수 없는 필수 의료 인프라의 붕괴를 지목한다. 특히 생존율이 높아지며 '만성질환'의 성격을 띠게 된 암 환자들이 응급실 과밀화를 심화시키고 있지만, 현장에서는 이를 받쳐줄 인력과 시스템이 심각한 한계에 직면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재원환자가 많을 땐 3분의 1이 암 환자일 정도로, 만성질환자들이 응급실을 차지하고 있다"며 "암 환자들이 진료를 대부분 대형병원에서 받고 있는 실정에서 열이 펄펄 끓는 등 항암 부작용이 있을 때 2차 병원은 자료가 없어 대처하기 어려운 탓에 결국 대형병원 응급실을 찾게 된다"고 언급했다. 이 관계자는 "일부 병원은 암 환자 전용 응급실을 따로 운영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현재 구급대원이 응급실 수배 전화를 돌리지 않게 하는 법안들이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데, 길에서 환자가 죽도록 방치하는 것보단 병원 수용을 늘리는 편이 나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보건복지부의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높은 의료수준으로 암 생존률이 늘고, 고령 인구가 증가하는 등에 따라 국내 암유병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암 유병자는 1999년 이후 암확진을 받아 2023년 1월 1일 기준, 치료중이거나 완치된 사람을 뜻하는데, 지난해 발표에 따르면 2022년 암유병자는 약 258만8079명으로, 전년(243만4089명) 대비 15만3990명 증가했다. 국민 20명당 1명 꼴이다. 문제는 고령화와 함께 앞으로도 이같은 문제는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외에도 총기 소유가 합법인 해외와 다르게 엄격히 금지된 한국은 신체의 두 가지 이상의 부위에 심각한 손상을 입는 등의 다발성 외상에 대한 의료 체계가 제대로 발전되지 못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증 응급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선 무엇보다 최종 진료를 맡는 배후 진료과 의사가 당직으로 24시간 병원에 상주해야 하는데, 고질적인 의사 부족 문제에 대한 해법이 필요하다는 시각이다.
이정연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