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5일 외교부 공동취재단에 따르면 오기 연구원은 최근 도쿄 국제문화회관에서 한국 외교부 출입기자단과 인터뷰에서 "2022년 중국이 최대의 과제, 두 번째가 북한이 됐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일본 방위성에서 16년 간 근무한 오기 연구원은 안보 전문가로 활동 중이다.
오기 연구원은 "일본의 위협은 소련에서 이제 중국으로 변화했고, 남서제도인 오키나와 등에 중국의 해양 진출이 우려사항이 됐다"며 중국을 최대 위협으로 꼽은 배경을 밝혔다.
그는 "중국에 대응하는 방위체제를 구축하는 데 가장 큰 문제는 일중간 군사 균형"이라며 "(중국의) 국방비가 4배 이상이고, 특히 해상·항공·미사일 전력은 중국과 균형 상황"이라고 짚었다.
그는 최근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대만 유사시 개입' 발언과 관련해 "일본 정부로서는 중국과 관계에서 외교, 우호관계를 확대함과 동시에 억지력과 방위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둘 다 접근했다"며 "외교만으로 중국과 관계를 통제, 관리한다는 건 현실성이 점점 저하됐다는 인식이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승인한 한국의 핵잠 보유에 대해선 "한국이 (중국, 북한의) 해저 잠수함 대응을 위해 핵잠을 가지는 건 일본에 있어서 환영하는 일"이라며 "한국이 핵잠을 보유하는 경우에는 한일 간 해저 활동에 대해 협력의 여지가 더 넓어지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다만 일본 방위성의 한 관계자는 이날 "한국의 핵잠 도입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은 아직 밝혀진 바 없다"면서 "좀 더 지켜봐야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기 연구원은 다카이치 체제에서 '3대 안보 문서' 개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도 주장했다. 그는 "일본이 2022년 12월 전략 3문서를 발표한 의도는 일본 남서제도의 오키나와 등을 효과적으로 지키기 위한 것"이라며 "(중국과의 군사력) 비대칭 요소를 해소하기 위해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는 미사일 등을 국내에서 개발한다는 취지로, 최근에는 무인기(드론)와 수상·수중 드론을 대량 취득하는 계획을 하고 있다"고 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전 총리가 지난 2022년 12월 개정한 일본의 3대 안보 문서는 기본 안보 정책을 종합한 '국가 안보 전략'과 자위대 등 방위 수단과 역할을 명시한 '국가 방위 전략', 5년 단위의 방위비 지출 계획을 담은 '방위력 정비 계획' 등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