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국민의힘은 계엄 1년 시점에서 마땅히 당의 총의를 모아 대국민 사과를 해야 한다. 제가 지난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국민께 사과를 드렸지만, 다수 국민들은 여전히 계엄 문제에 대한 국민의힘의 입장에 의구심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계엄 사태를 둘러싼 '입장 표명 회피'가 당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있다고 지적한 것이다.
김 의원은 특히 국민 여론과 당 사이에 괴리가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그는 "국민들의 의구심과 불신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민주당이 입법 주도권을 행사하고 사법부 영향력 확대를 시도하는 국면에서도 왜 국민의힘이 힘을 얻지 못하는지 설명할 길이 없다"고 했다.
최근 당내에서 반복되는 '내부총질 프레임'을 비판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다시 내부총질론으로 개혁을 미루지 말자"며 "정부·여당의 실정을 지적하는 것이 국가를 향한 공격이 아니듯, 당의 잘못을 짚고 변화와 쇄신을 요구하는 목소리 역시 내부총질이 아니다"라고 했다.
김 의원은 내부 정리가 이뤄져야 당의 외연 확장이 가능하다고도 했다. 그는 "국민을 향해 나아가는 보수개혁으로 당의 에너지를 결집하고, 이에 반대하는 분들도 설득해야 한다"며 "그럴 때 비로소 국민통합의 길이 열린다. 사과는 굴욕이 아니라 출발점"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