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이 원장은 이날 한국은행 기준금리 동결 직후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금융안정과 소비자보호에 빈틈이 없도록 전 임직원이 경계심을 갖고 업무를 해야한다"며 "증권사별 신용공여 한도 및 취급 동향을 매일 모니터링하면서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이상징후 발생시 선제적 대응을 해야한다"고 주문했다.
이어 "금융권 외화자금 조달 여건과 외화유동성은 양호한 상황이나, 일시적 수급 불균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외화유동성을 확보해달라"면서 "국내외 금융시장 급변동시 반대매매, 마진콜 등이 발생하는 투자현황 및 파급경로 등을 면밀히 점검해 잠재위험을 철저히 관리해달라"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또 "연말 금융권 퇴직연금 유치경쟁 등으로 급격한 머니무브가 발생하지 않도록 자금시장과 금융사 유동성 상황을 밀착 관리해달라"고 당부했다.
이 외에도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종합투자계좌(IMA) 제도 정착, 금융사 자본 비율 유인체계 개선 등도 차질 없이 추진해달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시장의 주가 조정, 금리 상승, 고환율 지속 등은 펀더멘털 악화 때문이 아니라 단기 차익실현, 연말 수급 불균형, 해외시장 변동 등 비구조적 요인이 작용한 결과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내년에는 본격적인 경기 회복과 기업 실적 개선을 바탕으로 금융시장이 안정세를 되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한·미 금리 경로의 불확실성, 인공지능(AI) 과잉투자 우려, 부동산 시장 불안 등 잠재적 불안 요인도 큰 만큼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2025 국감] 금융위·금감원 종합감사](https://img.asiatoday.co.kr/file/2025y/11m/27d/202511270100250830014803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