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틱톡발 K뷰티 열풍… 미국 내 한국 화장품 매출 올해 3조 육박 예상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20251128010015016

글자크기

닫기

정아름 기자

승인 : 2025. 11. 28. 08:23

화장품
지난 2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코리아 그랜드 소싱페어에서 참관객이 화장품을 구경하고 있다./연합
틱톡 등 SNS 영향으로 미국 내 한국 화장품(K뷰티 ) 매출이 올해 3조를 육박할 것으로 전망됐다.

CNBC가 27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 닐슨IQ 분석을 인용, 올해 미국 내 K뷰티 매출은 약 20억 달러(약 2조9000억 원)로 예상돼 전년 대비 37% 급증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화장품 업계 전반이 부담을 안고 있음에도, K뷰티는 미국 시장에서 독보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다.

닐슨IQ의 테레세-앤 드 암브로시아 부사장은 미국 전체 뷰티 시장이 한 자릿수 성장에 머무는 가운데 K뷰티만 다른 속도로 뛰고 있다며 성장세를 "매우 놀라운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기초화장품이 매출 확대를 주도하고 있으며 색조나 자외선차단 기능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제품들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미국 유통기업들도 K뷰티 수요 확대에 즉각 반응하고 있다.

한국의 올리브영과 비슷한 매장인 울타(ULTA)는 올해 1분기 한국산 화장품 매출이 38% 늘었다고 밝혔다. 2분기에도 K뷰티 파트너십 효과로 월가 예상치를 넘는 실적을 기록했다. 울타는 지난 7월 K뷰티 전문 편집 플랫폼 'K뷰티 월드'와 협력하며 관련 제품 판매 강화에 나섰다. 세포라도 뉴욕 타임스스퀘어 플래그십 매장 한쪽을 K뷰티 전용 공간으로 꾸미고 여러 브랜드와 독점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월마트, 코스트코 같은 대형마트들도 소비자 수요 증가에 맞춰 에센스, 세럼, 마스크팩 등 K뷰티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다.

뉴욕 패션기술대(FIT)의 델핀 호바스 교수는 미국 유통업체들이 '누가 K뷰티 시장을 선점하느냐'를 두고 경쟁을 벌이고 있다며 한국산 화장품이 현재 가장 큰 성장 동력으로 평가되고 있고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CNBC는 전했다.

최근 미국 내 K뷰티 급성장의 핵심 요인으로는 틱톡 중심의 바이럴 마케팅이 꼽힌다.

퍼스널케어인사이트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K뷰티 소비자의 약 75%가 MZ세대로, 이들은 틱톡에서 제품 정보를 얻는 경향이 뚜렷했다.

호바스 교수는 틱톡이 K뷰티 판도를 바꾸었다며 제품 혁신을 알리고 자연스러운 입소문을 만드는 과정이 과거보다 훨씬 쉬워졌다고 설명했다.

2010년대에 소규모 매장이나 아마존 판매자를 중심으로 미국 시장에 첫발을 내디뎠던 '1차 K뷰티 물결'과 달리, 최근 '2차 물결'은 성장 속도가 훨씬 빠른 데다 제품군이 색조·헤어·두피·바디케어·피부관리기기 등으로 다양해졌고 소비자층도 크게 확대됐다고 CNBC는 소개했다.

일각에서는 최근 K뷰티 열풍이 틱톡이라는 단일 플랫폼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다는 점은 한계로 지적된다.

닐슨IQ의 드 암브로시아 부사장은 특정 플랫폼에 성장이 집중될 경우 추천 알고리즘 변화가 하루 사이에도 제품 노출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아름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