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팬데믹 가능성은 존재…확률은 여전히 낮아”
전문가들 “백신 후보 이미 준비…코로나19 때보다 대응력 높아”
|
최근 수년간 고병원성 H5 계열 조류독감으로 세계 각지에서 수억 마리의 조류가 살처분됐다. 이로 인해 식량 공급망이 흔들리며 가격 상승을 초래했다.
파스퇴르 연구소의 호흡기 감염센터 의료 책임자인 마리 안느 라멕스 벨티는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우려하는 상황은 바이러스가 포유류, 특히 인간에게 적응해 사람 가 전파가 가능해지는 것이다"라며 "그렇게 변이할 경우 팬데믹 바이러스로 발전할 수 있다"고 전했다.
파스퇴르 연구소는 코로나19 초기 유럽에서 가장 먼저 진단 테스트기를 개발해 세계보건기구(WHO)와 각국 연구기관에 공유한 곳 중 하나다.
라멕스 벨티는 사람들이 일반적인 계절성 독감인 H1, H3에 대해서는 항체를 갖고 있지만, 현재 조류와 포유류 사이에 확산 중인 H5형 조류독감에 대해서는 항체가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초기와 유사한 상황이다.
또 코로나19가 주로 어린이, 노인, 만성 질환자 같은 취약계층에 집중됐지만, H5형의 경우 건강한 성인과 어린이에게도 치명적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인간 감염은 여전히 드물다.
미국에서는 최근 워싱턴주에서 사상 첫 H5N5 인간 감염 사례가 확인됐으며, 기저질환이 있던 감염자는 지난주 사망했다.
WHO는 2003년부터 2025년까지 약 1000건의 인간 감염 사례 중 48%가 사망했다고 밝혔다.
라멕스 벨티는 만약 사람 간 전파 능력을 갖춘 변종 조류독감이 나타나도 과거보다 대응 능력이 높아졌다고 강조했다.
"인플루엔자의 경우 이미 백신 후보가 준비됐으며, 대량생산 체계 역시 마련돼 있다"며 "과거 코로나19 때보다 훨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고 전했다.
그레고리오 토레스 세계동물보건기구(OIE) 과학국장은 현재 조류독감이 인간 간 전파 형태로 변이해 팬데믹을 일으킬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실제 확률은 매우 낮다고 전했다.
그는 "지금으로서는 숲을 산책하고, 닭고기와 계란을 먹고, 일상생활을 즐겨도 된다"며 과도한 공포를 경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