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치인들의 과거 핵무기 관련 발언들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NHK는 지난해 10월 "일본이 1969년 핵무기 보유를 위한 비밀협의를 서독(현재 독일)과 벌였으나 서독의 거부로 무산됐다"고 서독 외무부 기밀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지난 1967년 일본 사토 에이사쿠 정권은 중의원 예산위에 나와 '핵을 보유하지도, 만들지도, 들여오지도 않는다' 는 '비핵 3원칙' 을 천명했지만 1970년 핵환산금지조약(NPT)발효를 앞두고 물밑으로 핵 보유 가능성을 모색한 것이다.
또 2002년에도 당시 일본 야당인 자유당의 오자와 이치로 당수가 후쿠오카에서 열린 한 강연에서 "중국이 너무 팽창하면 일본 국민이 신경을 곤두세우게 된다"며 "일본에서 핵탄두를 제조하는 것은 매우 쉬운 일이며 수 천개의 핵탄두를 생산해낼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플루토늄을 보유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극우 성향의 이시하라 도쿄 도지사도 중국과 센카쿠 열도 충돌시 후지TV 토론프로그램에 출연해 "일본은 2년이면 핵무기를 보유할 수 있는데 논의 자체를 금기시 하고 있다"며 핵 보유 논의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