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오세훈 시장 한강르네상스 특권층 시설?

기사듣기 기사듣기중지

공유하기

닫기

  • 카카오톡

  • 페이스북

  • 트위터 엑스

URL 복사

https://www.asiatoday.co.kr/kn/view.php?key=485156

글자크기

닫기

정기철 기자

승인 : 2011. 05. 27. 15:07

여의도 요트마리나·세빛둥둥섬 등 공공성 잃어 가는 듯
[아시아투데이=정기철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하고 있는 한강르네상스 사업이 공공성을 잃어가고 있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27일 시와 시의회 등에 따르면 한강르네상스 사업의 일환으로 여의도 요트마리나, 세빛둥둥섬, 서해뱃길, 한강예술섬 등이 추진중에 있으나 일부 시의회측으로부터 소수 특권층만을 위한 시설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4월 16일 개장한 요트마리나는 민간업체 ‘서울마리나’가 270억원을 투자해 요트 90척과 요트계류시설, 클럽하우스 및 부대시설 등을 설치하고 향후 20년간 운영한 후 서울시에 기부채납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한강서 열린 국제요트대회에 참가한 요트들.
시가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90척 내외의 요트가 정박할 수 있는 규모의 수역과 부지조성,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 조성을 위해 50여억원을 예산을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개장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1~3인용 딩기요트(교육용)는 1인당 1시간에 4000원, 선실이 있는 크루즈 요트는 1인당 1시간에 1만5000원이면 이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딩기요트를 이용할 경우 6시간 이상이 필요한 ‘딩기 요트 교육’을 받아야만 가능하기 때문에 실제 이용료는 5만원 정도인 것으로 확인됐을 뿐 아니라 회원권과 비슷한 형태의 수 천만원 상당의 ‘연간 이용권’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기도 했다.

또 세빛둥둥섬의 경우 사업권자인 민간업체 (주)플로섬이 수상문화 레저시설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총 964억원을 투입해 제1섬과 2섬, 3섬, 그리고 미디어아트갤러리 등 총 9995㎡규모로 만든 한강에 떠 있는 인공섬이다.
(주)플로섬은 세빛둥둥섬의 운영을 위탁하기 위해 운영권자인 (주)CR101측과 월 임대료 10억8800만원, 연간 130억6400만원에 임대차 계약을 맺고 있었다.

(주)플로섬이 향후 25년 서울시에 기부채납하기 전 투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임대료가 높을 수 밖에 없으며 그 결과 운영권자는 비싼 이용료를 받게되고 이 처럼 비싼 이용료를 낼 수 있는 시민은 소수 특권층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시가 추진하고 있는 크루즈선 운항의 경우 지난해 5월25일 서울 여의도 일대 한강변을 ‘서울항’으로 지정하는 내용의 ‘항만법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국제 크루즈선이 정박이 가능해 졌다.

시는 이에 따라 중국 상하이는 물론 동북아 연안 도시를 여행할 수 있는 5000톤급 이상의 크루즈선 운항이 가능하도록 총 2300여억원을 투입해 수상선착장과 여객터미널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서울시 한강사업본부는 ‘서해연결 주운기반조성 기본설계서’에서 ‘크루즈를 이용할 수 있는 사람의 연봉은 6,000만원으로 월평균 수입이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라고 밝힌 바 있어 서울시민 가운데 연봉 6000만원이 넘는 사람은 16%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함께 한강대교 중지도에 들어설 예정으로 있는 한강예술섬은 총 6700여억원의 예산이 필요하며 완공 후 교통난 해소 등을 위해 모노 레일 조성 등이 추가로 건설될 경우 공사비만 약 1조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오승록 서울시의회 민주당 대변인(시의원 환경수자원 노원3)은 “서울시가 민간자본을 유치해 조성한 요트마리나, 세빛둥둥섬의 경우 공공성 보다는 수익성 사업으로 변질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주장했다.

오 대변인은 또 “지금이라도 요트마리나와 세빛둥둥섬에 대한 공공성을 철저히 확보하는 한편, 서해뱃길과 한강예술섬 사업은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기철 기자

ⓒ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제보 후원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