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 변호사는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서 “헌법재판소의 역사적 결정으로부터 1년이라는 시간이 지났지만 한국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과 일본 정부의 부당하고 완고한 자세는 변한 것이 없다”고 비판했다.
‘정신대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의 이인순 사무국장은 “우리 정부가 일본과 200여 차례 접촉했지만 헌재 결정 1년이 지나도록 중재절차를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 전국행동 2010’의 양징자 공동대표는 “대만, 중국, 필리핀 등 위안부 문제가 있는 아시아 국가들과 공조해 외교적인 노력을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에는 민주통합당 이미경 의원과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의 장주영 회장 등 정치ㆍ법조ㆍ시민단체 관계자 40여 명이 참석했다.
한편 헌법재판소는 지난해 8월 30일 정부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의 배상청구권과 관련해 구체적 노력을 하지 않는 것은 위안부 피해자들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위헌 행위라고 판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