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박근혜 대통령·아베 총리 2일 한일정상회담 전망은?

박근혜 대통령·아베 총리 2일 한일정상회담 전망은?

기사승인 2015. 10. 26. 18:09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11월 1일 한중일 정상회의 계기, 취임 후 첫 한일 양자회담...3년 5개월만에 한일정상회담...일본군 위안부 문제 '합의 수준' 회담 성과 좌우...박 대통령, 31일 리커창 중국 총리와 회담...대북 메시지 주목
김규현 외교안보수석 외교현안 브리핑
김규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지난 25일 춘추관에서 최근 외교안보 현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 연합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달 1일 서울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되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취임 이후 처음으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2일 한·일 정상회담을 열기로 했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정상회담 일정이 2일로 최종 확정되면 일본군 위안부 문제 사과와 함께 과거사 왜곡·독도 영유권 분쟁으로 역대 최악인 한·일관계를 복원하고 개선하는 계기를 만들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 회담이 최종 성사되면 양자 회담은 처음이고 3년 5개월 만에 한·일 정상회담이 열리게 된다.

청와대 관계자는 26일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여는 방안을 한·일 양측 간에 협의해 왔다”면서 “최근 한국측은 개최 일자를 다음달 2일로 일본측에 제의했고 일본측 회신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

한·일 수교 50주년을 맞는 올해 일본의 아베 총리도 미래지향적인 한·일관계를 위해 한·일정상회담에 대한 필요성을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언급했기 때문에 돌발 변수가 생기지 않는 이상은 오는 2일 정상회담이 성사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본군 위안부 문제와 과거사 왜곡·독도 영유권 분쟁과 관련해 일본이 어느 정도 수위의 입장을 내놓느냐에 따라 이번 첫 회담 성과와 함께 한·일관계의 향방도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나 아베 총리 모두 국내외적으로 한·일관계 개선과 함께 민감한 현안에 대한 입장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어 적잖게 압박을 받는 회담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청와대는 또 박 대통령이 이번 한·중·일 정상회의를 계기로 오는 31일 중국의 리커창 총리와 양자회담을 갖기로 했다고 밝혔다. 리 총리는 31일부터 다음달 2일까지 공식 방한한다. 청와대는 “한·중 회담에서는 양국관계 발전 방안, 한반도를 포함한 주요 지역과 국제문제 등 상호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리 총리는 2013년 3월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찾는다. 정의화 국회의장과 황교안 국무총리를 면담하고 한국 경제단체 주최 환영 리셉션에도 참석한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시진핑 국가 주석과 장더장 전인대 상무위원장에 이어 리 총리까지 중국 정부의 핵심지도자들이 모두 한국을 찾게됐다. 한·중 간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 발전이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청와대는 기대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