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아시아투데이 2018년 신년사] 대한민국 사회 공공성을 복원하자

[아시아투데이 2018년 신년사] 대한민국 사회 공공성을 복원하자

기사승인 2018. 01. 01. 06:18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송인준 아시아투데이 회장...극심한 갈등과 양극화 병폐...'집단 이성의 힘' 마저 작동하지 않아...국가와 사회, 직장과 가정 공동체, 연대와 소통...무너지 공공성과 공동체 의식, 밑바닥부터 복원, 시대적 과제
송인준 회장님
송인준 아시아투데이 회장
2018년 무술년(戊戌年) 새해가 밝았다.

지난 한 해는 우리 헌정 역사상 경험하지 못한 격동에 휩싸인 시간이었다.

희망찬 새해가 밝았지만 나라 안팎으로 해결해야 할 국가적 난제에 직면해 있다.

나라 밖으로는 집권 7년 차를 맞은 김정은 북한 정권이 핵과 미사일 도발을 거듭하면서 우리 안보에 대한 겁박을 서슴지 않고, 한반도를 둘러싼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 강대국들의 입김이 노골화되고 있다.

나라 안으로는 헌정 사상 초유의 대통령 탄핵으로 새 정부가 들어섰지만 나라 곳곳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 넣기에는 지금까지 힘이 부친다.

이념과 지역, 세대와 계층으로 갈라진 우리 사회가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걸쳐 심각한 양극화의 부작용을 배태(胚胎)하고 있다.

아시아투데이는 2018년 새해 아침에 ‘대한민국 사회 공공성(公共性)을 복원하자’는 담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우리 사회가 역사적으로 지금처럼 사회 구성원들의 갈등과 양극화 현상으로 공동체 의식이 훼손된 적이 없다.

우리가 그동안 극도의 개인주의 사회라고 비판했던 서구사회 조차도 지금의 대한민국 사회처럼 극단적인 이기주의가 판치지는 않았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사회 전반에 걸쳐 ‘내가 아무리 잘 되도 국가와 사회, 이웃 공동체가 불행하면 내가 행복해 질 수 없다’는 너무나도 당연한 ‘집단 이성의 힘’ 마저 작동하지 않고 있다.

공공성은 거창한 담론이 아니다. 우리 국가와 사회, 직장과 가정 공동체가 어려움에 처했을 때 외면하지 않고 손을 내밀어 준다면 그것이 바로 연대와 소통이며 공공성 실현의 출발이다.

공공성의 개념은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들이 각자 주체성을 갖고 공동체 복리를 추구하며 공개된 절차를 통해 자유롭게 소통하고 연대한다는 특징을 내포하고 있다.

지난 반세기 동안 대한민국 국민의 열망과 도전은 국가와 사회, 공동체를 지키고 가꾼다는 한없는 염원과 열정의 고귀한 역사적 결실이었다.

우리 사회가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만큼 짧은 기간에 이룩한 산업화와 민주화의 눈부신 성과도 공공성 실현에서 비롯됐다고 감히 자부한다.

1970~80년대에 ‘다 함께 잘 살아보자’는 공동체의식이 바로 한강의 기적으로 산업화의 추동력이었다.

1980~90년대에 ‘나라의 주인은 그 구성원인 국민’이라는 주권재민(主權在民)의 공동체의식이 민주주의 체제를 안착시키는 민주화의 추동력이었다.

하지만 대한민국 작금의 현실은 압축성장의 부작용으로 물질 숭배와 극단적 이기주의, 사회 구성원들 간의 극심한 세대·지역·성별 양극화로 병들어 가고 있다.

이른바 ‘공유지의 비극화(The tragedy of the commons)’ 현실에 처해 있다.

사회 구성원들이 과도한 경쟁에 내몰리면서 극심한 사회 분열과 반목이 일상화되고 우리 모두가 함께 지켜야 할 공공성과 공동체가 심각하게 훼손됐다.

이처럼 우리 사회의 무너진 공공성과 공동체 의식을 밑바닥에서부터 다시 쌓아 올리고 다지는 일이 가장 화급한 시대적 과제가 됐다.

1980년대 천주교가 선도한 ‘내 탓이요 운동’, 1997년 외환(IMF) 위기 때 ‘전(全) 국민의 금모으기 운동’, 2007년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 사고 때 ‘전 국민적 기름청소 자원봉사 운동’, 2008년 검찰과 교육청·학교가 삼위일체로 전개한 ‘자녀안심하고 학교보내기 운동’ 등 우리 사회는 이미 공공성을 발휘한 큰 저력을 갖고 있다.

공공성 복원의 실천 운동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아니라 시민 사회와 직장, 학교, 종교 단체 등이 각 공동체 특성에 맞게 자율적으로 실천해 나가는 것이 극히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사회는 이미 국가적 차원에서 전개했던 ‘새마을운동’, ‘사회정화운동’ 등 여러 사회운동이 집단주의에 악용됨으로써 그 신뢰를 잃고 취지가 몰각(沒却)된 뼈아픈 경험을 겪었다.

공공성과 공동체 의식의 고양이 국민 개개인의 성향과 선호, 개성과 철학 등 시민 사회의 다양성을 훼손하고 집단주의적 성향으로 경직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단호히 경계한다.

아시아투데이는 대표적인 사회의 공기(公器)인 공익정도 언론으로서 대한민국 사회의 공공성과 공동체 의식을 복원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는데 맨 앞에 서겠다는 약속을 독자와 국민께 드린다.

2018년 1월 1일 아시아투데이 회장 송인준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