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교부는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제출한 현안보고 자료에서 “북·미 실무 협상 전후로 9월 유엔 총회 등에서 한·미간 긴밀한 공조 체계를 유지하고 각 급 소통을 통해 실무 협상 대응 전략을 조율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외교부는 지난 6·30 판문점 북·미 정상 회담에서 합의된 비핵화 실무협상이 아직 재개되지 못한 상황이지만, 최선희 북한 외무성 1부상이 지난 9일 발표한 담화에서 북·미 실무협상 재개를 제안했고 미국측도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외교부는 이어 북·미 실무협상의 시기와 장소 등 구체적인 사항은 북·미 간 소통을 통해 논의될 것으로 예상했다.
외교부는 국제사회가 북한의 비핵화를 견인하고 북·미 대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의 건설적인 역할을 독려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