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주문은 실제 거래로 이어지지 않았지만, 증권사의 거래 시스템이 부실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1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전 9시 12분과 13분에 JTBC 회사채 300억원, 500억원어치가 매도 주문이 나왔다. 총 매도 물량이 800억원인 셈인데, 이 회사채의 발행 총액인 510억원보다 많은 수준이다.
이 사고는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맞춰 한국투자증권이 새로운 전산시스템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개발자가 ‘타사 대체 채권’ 입고 시 실제 금액의 1000배가 입력되도록 설정을 해놓으면서 발생했다.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전자증권제도 시행으로 새로운 시스템을 적용했는데,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한 것”이라며 “주문이 잘못 나온 부분은 고객 피해가 발생하기 전 바로잡았다”고 설명했다.
‘타사 대체 채권’은 고객이 다른 증권사 계좌로 보유하고 있던 채권을 옮기는 것을 말한다.
이날 타 증권사를 통해 JTBC 회사채를 매수한 투자자가 이를 한국투자증권 계좌로 옮기는 과정에서 실제 보유한 금액의 1000배인 200억원이 입금된 것을 보고 회사 측에 알렸다. 그러나 한국투자증권이 조치를 취하기 전 해당 채권이 과다 입금된 계좌 두 개에서 금액이 1000배로 부풀려진 300억원, 500억원어치의 매도 주문이 나왔다. 다행히 매매로 이어지지 않아 투자자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거래소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발행잔액을 넘어서는 주문을 자동으로 거부하도록 돼 있지만 이보다 작은 금액으로 주문이 나와 거르지 못했다”면서 “재발 방지를 위해 내부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