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위원장은 이날 아시아투데이 창간 14돌 ‘한국경제 성장엔진을 돌려라’ 특별인터뷰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공유경제와 바이오·헬스케어, 수도권 규제 등 가치갈등이나 이해충돌이 첨예한 규제의 경우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사회적 합의를 찾아 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규제체계·추진방식·공직자 혁신과 소통강화를 규제혁신의 4대 전략으로 정하고 집중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 4대 전략을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선(先)허용 후(後)규제 체계인 일명 포괄적 네거티브 체제로의 전환을 정부를 넘어 공공기관 규정까지 전면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김 위원장은 “규제 샌드박스 제도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합하는 규제혁신의 견인차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추가 승인을 적극 검토하고 선제적 규제혁파 로드맵을 전기·수소차와 에너지 신산업 분야 등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역설했다. 또 김 위원장은 △규제 정부 입증책임제 확대 △공직사회 적극행정 정착 △국민·기업·지방자치단체와의 협력·소통 강화 등을 통해 국민과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규제개혁을 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