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청와대는 1·2분위 저소득층의 이전소득이 빠르게 증가한 점에 주목하며 정책 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전소득이란 공공기관이 개인에게 지급하는 수당, 연금, 급여 등 을 말한다. 통계청에 따르면 1분기 소득 1분위의 공적이전소득은 10.3% 증가했고 2분위는 9.4% 증가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김상조 정책실장이 오늘 문 대통령에게 통계청 가계소득 조사와 관련한 보고를 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강 대변인은 “정부는 올 1월부터 기초연금, 장애인연금을 25만 원에서 30만 원으로 올리고 대상도 확대했고, 기초생활보호 부양의무자 기준을 완화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며 “김 실장은 그 점이 저소득층 소득에 반영됐다 보고를 했다”고 전했다.
이어 강 대변인은 “김 실장은 ‘데이터 3법’에 이어서 데이터 기반 행정 활성화 법안의 통과 사실도 의미가 있다고 보고했다”며 “데이터 경제를 뒷받침하는 중요한 법안이고 한국판 뉴딜의 한 축인 디지털 뉴딜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게 김 실장의 설명이었다”고 밝혔다.
이에 문 대통령은 “스마트 행정 및 데이터 경제를 앞당기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각 부처도 업무 처리에 있어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데이터 경제를 구현하는 데 정부가 선도적 역할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