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예상욱 교수가 이산화탄소(CO2) 증가로 인한 열대 태평양의 강수량 증가의 원인을 규명하여 인류의 당면 과제인 미래의 기상/기후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예상욱 교수는 기후 변화의 원인을 찾고,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상/기후 변화, 미세먼지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까지 광범위하게 연구하여 미래 기후문제 해결의 방향성을 제시해온 자연과학자다.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증가가 지구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자 많은 연구자들이 인간의 활동이 지구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특히, 열대 강수량은 전 지구 대기 순환의 에너지원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지구과학 분야에서 오랫동안 연구해온 주제 중 하나이다.
예상욱 교수는 기후모델실험을 통해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산업혁명 이전보다 2배 이상 증가한 미래의 기후를 예측하여 열대지역의 강수량 구조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법론을 제시했다.
분석 결과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증가한 모든 실험에서 서태평양 지역 강수량이 증가했다. 더불어 이 지역의 주요한 대기 순환인 워커 순환(Walker circulation)과 해들리 순환(Hadley circulation)이 강수량 증가를 결정하는 조절자임을 규명했다.
또한 지구온난화 시 열대 기후의 세밀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대기 순환의 구조적 차이를 고려해야 함을 기후학계에 제시하고, 관련내용을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 2019년 3월호에 발표했다.
예상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증가에 따른 열대 지역의 워커 순환과 해들리 순환이 그 지역 강수량 구조의 세부적 변화를 결정하는 조절자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며 “이를 통해 전 지구의 물 순환과 이상 기상/기후 변동의 미래 변화를 예측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