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국민 70% “피 나누지 않아도 같이 살기만 해도 가족”

국민 70% “피 나누지 않아도 같이 살기만 해도 가족”

기사승인 2020. 06. 30.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여성가족부 로고
국민 10명 중 7명은 ‘혼인·혈연관계가 아니어도 주거와 생계를 공유하면 가족’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는 가족에 대한 국민의 인식 변화를 살펴보고 정책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5월 말에 ‘가족다양성에 대한 국민인식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9.7%가 ‘혼인·혈연 관계가 아니더라도 생계와 주거를 공유한다면 가족이 될 수 있다’고 답했으며, ‘함께 거주하지 않고 생계를 공유하지 않아도 정서적 유대를 갖고 있는 친밀한 관계이면 가족이 될 수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39.9%로 나타났다. 반대로 법적인 혼인·혈연으로 연결돼야만 가족이라고 할 수 있다는 비율은 64.3%로 작년보다 3.0%p 하락했다.

clip20200630100826
가족의 의미에 대한 인식 조사결과/여성가족부 제공
또 저연령대(19∼49세)가 고연령대(50~79세)보다 가족의 의미를 넓게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재혼가정 등 다양한 가정형태가 나타남에 따라 ‘외국인과 결혼하는 것’(92.7%), ‘이혼 또는 재혼’(85.2%), ‘성인이 결혼하지 않고 혼자 사는 것’(80.9%)에 대한 수용도가 높았으며, 19∼39세에서 타 연령층 대비 수용도가 높았다.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는 것’을 48.3%가 수용할 수 있다고 답해 작년 대비 3.8%p 상승했고, 남성(49.5%)과 여성(47.0%) 간 의견차가 크지 않았다. ‘미성년이 자녀를 낳아 기르는 것’은 응답자의 29.5%만이 수용할 수 있다고 답했으나, 작년 대비 4.1%p 상승했다. 남성 31.7%, 여성 27.2%로 성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

‘한부모 가족의 자녀’(81.2%), ‘입양된 자녀’(80.4%)에 대한 수용도가 높았고, ‘다문화 가족의 자녀’(79.7%) 수용도는 전년 대비 상승폭이 특히 컸다(5.0%p). 19∼49세가 50대 이상에 비해 수용도가 높고, 상승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clip20200630100919
다양한 가족형태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 조사결과/여성가족부 제공
‘한부모 가족의 자녀를 배우자 혹은 자녀의 배우자로 수용할 수 있다’는 답변은 응답자의 81.2%, 여성 79.1%, 남성 83.2%가 가능하다고 답해 남녀 모두 한부모 가족에 대한 수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전 연령대에서 수용도가 높은 편이었다.

‘재혼가족의 자녀’는 응답자의 78.9%가 수용 가능하다고 답변했고, 여성 76.9%, 남성 80.8%로 성별 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찬성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미혼부·모 가족의 자녀’는 응답자의 60.8%가 수용 가능하다고 답변했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찬성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이며, 20대 이하(80.6%)와 70대(40.4%)의 찬성 비율은 40.2%p의 격차를 보였다.

‘비혼 동거 가족의 자녀’는 응답자의 48.2%만이 수용 가능하다고 답변했고, 다른 형태의 가족에 대한 수용도와 비교할 때 비혼 동거 가족에 대한 수용도가 가장 낮았다. 40대 이하는 과반이 찬성하고 있으나, 60대~70대는 30%대로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

‘다문화가족의 자녀’는 응답자의 79.7%가 수용 가능하다고 해 작년 대비 5%p 상승했다. 연령대별로는 수용도가 가장 낮은 70대의 수용도가 64.0%, 수용도가 가장 높은 20대의 수용도가 89.9%로 전 연령대의 수용도가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조사는 가족 다양성에 대한 국민 수용도 등의 변화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 작년 8월 처음으로 정부 차원에서 실시했으며, 이번 조사의 조사 문항과 규모, 방법 등은 작년 8월 조사와 동일하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