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스마트공장 전담 코디네이터,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스마트공장 전담 코디네이터,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기사승인 2020. 07. 01. 12: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제조분야 ICT 전문가(코디네이터)가 사업기획부터 협약지원, 중간·최종진단과 사후관리까지 일대일 전주기적 밀착 지원
스마트공장 도입 희망기업은 간소화된 신청서로 신청 가능
중소벤처기업부는 정보통신기술(ICT) 전문지식이 부족한 중소·중견 제조기업의 수요자 맞춤형 스마트공장 구축과 스마트화 역량 강화를 위해 ‘스마트공장 전담 코디네이터’를 2일부터 지원한다.

지난달 초 제조혁신센터(전국 19개)를 통해 선발된 318명의 코디네이터는 스마트공장 관련 현장 경험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제조분야 ICT 전문가이다. 이들은 신청과제의 사업기획부터 진단과 사후관리까지를 일대일로 밀착 지원해 스마트공장 솔루션 활용도와 구축성과를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구축 이후에도 A/S 지원 등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기 위한 다양한 컨설팅을 지원해 스마트공장의 지속적인 성과확산에도 앞장설 예정이다.

코디네이터 도입에 따른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의 주요 개선사항을 살펴보면 우선 신청기업의 편의성 제고와 신속한 지원을 위해 코디네이터 신청기업은 사업의향서 수준의 대폭 간소화된 신청서(2페이지) 만으로 신청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급기업이 주도하던 사업 신청을 실제 수요자인 도입기업의 역량만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도록 개선했다.

사업기획은 전담 코디네이터가 기획 초기 단계부터 참여해 스마트공장 도입기업의 여건을 고려한 스마트화 전략을 가이드하고, 우수 공급업체를 선별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써 도입기업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정보 부족 문제를 완화했다.

구축은 종전에는 외부 평가위원을 통한 중간·최종 점검으로 인해 서류 준비 등 행정적인 부담이 있었다. 앞으로는 코디가 직접 책임·관리하도록 해 시간과 비용 절감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결과물에 대한 감리는 현행처럼 외부의 전문감리기관이 실시하도록 유지해 평가의 객관성을 확보했다. 또 사후관리는 공급기업의 사후관리 서비스뿐만 아니라 코디네이터의 사후점검을 통한 수시 애로 해소, A/S와 고도화 컨설팅 등도 추가돼 사후관리를 체계적으로 지원한다. 스마트공장 고도화 과제를 중심으로 코디를 지원하되 신규 구축의 경우 희망기업에 한해 지원한다.

한편 중기부는 2022년까지 3만개의 스마트공장 보급을 추진하고 있으며 2019년까지는 민·관이 힘을 모아 1만2660개를 보급했다. 올해는 5600개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스마트공장 도입에 따른 제조 경쟁력 향상에 대한 인식 확산 등으로 인해 어려운 경기 여건에도 불구하고 올해 6월 말 누계기준 스마트공장의 신청수요는 대폭 증가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코디네이터는 스마트공장 구축 내실화는 물론 기업의 멘토로서 다양한 현장 혁신 활동을 통해 기업의 스마트공장 만족도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며 “정부는 스마트 제조혁신을 위해 성과 중심의 스마트공장 보급에 정책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