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시아투데이 로고
아시아나항공 M&A 사실상 무산…이후 시나리오는

아시아나항공 M&A 사실상 무산…이후 시나리오는

기사승인 2020. 08. 04. 18:00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톡 링크
  • 주소복사
  • 기사듣기실행 기사듣기중지
  • 글자사이즈
  • 기사프린트
산은, 현산 재실사 요청 거부…12일 계약해지 통보 시사
향후 2500억원 계약금 둘러싸고 책임공방 법정다툼 예고
Print
산업은행이 HDC현대산업개발(이하 현산)의 ‘아시아나항공 재실사’ 요청을 거부하면서 아시아나항공 매각 협상은 사실상 무산으로 가닥이 잡힌 모양새다. 지난해 11월부터 8개월여간 이어온 지리멸렬한 협상은 결국 아무 소득도 없이 원점으로 돌아간 셈이다. 이제 양측은 2500억원의 계약금을 둘러싸고 ‘노딜(No Deal·거래무산)’의 책임소재를 다투는 법정공방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이 무산 후 ‘플랜B’까지 언급하며 현산에 최후통첩을 보내면서 아시아나 M&A는 사실상 무산이란 해석이 지배적이다.

전날 산은은 현산의 재실사 요구가 과도하다고 지적하며 지난달 26일 거래 종료일 당일에야 12주간의 재실사를 요청한 데다 서면 접촉만을 고집하는 현산의 태도를 근거로 아시아나항공 인수 의지가 없는 것으로 봤다.

최대현 산업은행 기업금융부문 부행장은 “수많은 인수합병을 경험했지만 당사자 면담 자체가 조건인 경우는 처음”이라면서 “현산 측이 계속 기본적인 대면 협상에도 응하지 않고 인수 진정성에 대한 진전된 행위를 보이지 않는다면 계약 무산이 현재로선 불가피하다”며 거래종료시한을 오는 11일까지로 못 박았다.

1주일가량의 기간이 남았지만 시장에서는 현산이 결국 인수를 포기할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당초에는 현산이 거래에 유리한 조건으로 이끌기 위해 협상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봤지만, 코로나19가 예상치 못하게 장기화되면서 항공업계가 그 어느 산업보다 불확실성이 커지며 분위기가 달라졌다. 현산도 제주항공과 마찬가지로 아시아나항공을 감당할 수 없어 발을 빼고 싶어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다.

그도 그럴 것이 현산도 코로나19의 영향을 비껴가지 못하고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대비 각각 34%, 24.8% 감소했다. 2분기 기준 금융 등을 활용해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금융상품을 포함한 현금성 자산이 약 2조2000억원가량은 되지만 실적이 감소되고 있는 상황에서 아시아나항공을 운영하기에는 위험부담이 크다. 아시아나항공은 1년에 항공기 리스비용만 5000억원에 달하고, 매달 운영비로만 약 2400억원이 필요하다.

업계에서 무산에 무게를 두는 이유다. 양측의 날선 공방은 계약금 2500억원을 둘러싼 일종의 명분쌓기로 보고 있다.

현산과 미래에셋 컨소시엄은 아시아나항공 총 인수대금 2조5000억원의 10%를 계약금으로 냈다. 현재 이 돈은 에스크로(조건부 인출가능) 계좌에 예치돼 있다.

계약 무산의 책임 소재에 따라 2500억원의 향방이 갈릴 전망이다. 이동걸 산은 회장이 “계약 무산의 모든 법적 책임은 현산에 있다”고 말한 것과 현산이 “아시아나항공이 회계자료 등 정보를 왜곡하고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다”고 강조한 이유도 계약금 반환 소송을 염두에 둔 발언이다.

업계에서는 현산이 이미 대형 로펌을 선정하고 소송 준비를 진행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흘러나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아시아나항공의 노딜은 시장에서는 기정사실화된 것”이라면서 “남은 절차는 이제 2500억원의 계약금을 두고 금호와 현산 간의 소송전뿐”이라고 전했다.

산은도 플랜B를 준비 중이다. 우선은 유동성 지원 및 영구채 주식 전환을 통한 채권단 주도의 경영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앞서 채권단은 지난해 4월 아시아나항공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기 위해 영구채 5000억원을 포함해 1조6000억원을 투입했다. 올해도 3000억원의 영구채를 추가 인수했다. 영구채는 유사시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전환사채(CB) 형태로, 영구채 8000억원을 주식으로 바꾸면 채권단은 아시아나항공 주식 약 36.77%를 보유해 현재 대주주인 금호산업 30.77%를 넘어 최대 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채권단 관리로 경영이 어느 정도 정상화되면 대기업이나 대형 사모펀드(PEF) 등에 매각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아시아나의 핵심적인 기능만 남겨둔 상태로 에어부산 등을 분리해 매각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제주항공에 이어 현산까지 항공사 인수에 두 손을 들고 나간 상황에서 기업들이 섣불리 나서지는 못할 것”이라면서 “현 상황에서는 업황이 회복될 때까지 정부와 채권단이 나서 아시아나항공이 버틸 수 있도록 자금지원과 경영관리에 들어갈 수밖에 없어 보인다“고 전했다.
후원하기 기사제보

ⓒ아시아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