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기금 특별융자 등 400억 원 규모 관광업계 피해극복 지원
|
안전여행 캠페인은 연말까지 시행된다. 종전 여행주간이 2주 동안 여행을 독려하는 취지였다면 안전여행 캠페인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안전하게 여행하는 방식을 확산하기 위한 취지다. 지난 7월 1일부터 19일까지 진행된 특별여행주간 당시 평균 국내 확진자 수는 여행주간 시작 2주 전이 30.1명, 여행주간 25.6명, 여행주간 종료 후 2주간 평균 16명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국내 이동량은 전월 대비 4.1%로 늘었지만 확진자 수는 감소세였다. 이를 고려하면 안전한 여행방식이 확산될 경우 국내 방역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문체부는 기대한다.
문체부는 캠페인 광고와 행사 등을 통해 ‘소규모·가족단위로, 한적한 관광지 위주로, 방역수칙 지키며 여행하기’라는 사회적 거리두기 1단계의 여행 핵심수칙을 적극적으로 홍보해 여행지에서 코로나19 확산 방지에 주력한다. 또 ‘안전여행 퀴즈 이벤트’ ‘비대면여행지 인증 이벤트’ 등 온라인 행사를 시행해 안전수칙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일 계획이다. 지자체, 지역관광협회 등과 함께 수시로 관광지 현장도 점검할 계획이다.
여행수요 분산을 위한 ‘가을 비대면 관광지 100선’을 발굴해 알리는 동시에 ‘대한민국 구석구석’ 홈페이지에서 ‘안전한 여행예보서비스’(28일 부터)도 운영할 예정이다. 코로나 우울 극복과 비대면 여행문화 확산을 위해 ‘따로 함께 걷는 대한민국’을 주제로 한 걷기 여행 사업,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헌신한 의료진·방역관계자·자원봉사자들이 치유 관광지를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시행한
다.
|
최윤희 문체부 제2차관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의 안전과 방역이며, 관광 분야 모든 사업은 안전에 방점을 두고 추진할 계획이다.”라며, “피해가 극심한 관광업계 지원을 위한 대책도 절실하기 때문에, 업계 추가 지원대책과 함께 소비 할인권 등 내수대책 추진 시기 등을 방역 당국과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