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노위원들은 21일 오전 9시 서울 서초구 CJ대한통운 택배물류 현장을 직접 찾아 20분 가량 설명을 듣고 택배기사들의 고충을 들었다. 당초 환노위는 각 택배사 대표들을 증인으로 채택해 오는 26일 종합감사를 하려고 했지만 여야 합의가 불발돼 이날 현장시찰 형태로 대체됐다. 환노위 위원들은 물류센터를 살펴본 뒤 박근희 CJ대한통운 대표·택배노조와 함께 비공개 간담회를 했다. 위원들은 비공개 간담회에서 박 대표 등 관계자들에게 소속 택배 노동자 사망과 관련한 사실 관계를 묻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 대표는 올해 과로로 사망한 택배노동자 8명 중 5명이 CJ대한통운 소속인 점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며 유감을 표명했다. 박 대표는 택배 노동자 과로의 고질적 문제로 거론돼온 분류 작업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 22일 언론을 통해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택배 물량 조절과 노동시간 단축, 건강 검진 등 안전 대책 강화 등이 포함될 것으로 전해졌다. 별도의 기금을 조성해 택배기사들이 사고를 당할 경우 위로금을 지급하는 방안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택배 노동자 건강권 보호와 관련해 환노위 국민의힘 간사인 임이자 의원은 “상임위 차원에서 택배 노동자뿐만 아니라 필수 노동자들을 위한 개별적·집단적 보호에 대해서 공청회와 토론회를 거쳐서 법을 제정하든, 개정하기로 힘을 모았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간사인 안호영 의원은 “CJ대한통운이 노·사 간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면서 “분류 작업 문제와 관련해 회사 측이 확실하게 책임을 지겠다는 의사가 있어야 진정한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안 의원은 “국회 차원에서 국토부와 환노위가 같이 제도적 해결책을 찾겠다”고 약속했다.
특히 여야는 자동화시스템이 갖춰진 영업장에서도 5명이나 숨졌다고 지적하면서 시설이 열악한 곳은 사정이 더 나쁠 것이라며 종합적인 대책을 주문했다. 양이원영 민주당 의원은 “강남권의 14개 지역에 택배기사 160명이 일하는데 간단한 산술 계산 만해도 5~7명이 아닌 10명분이 넘는 것 아니냐”면서 택배 기사들의 과중한 업무량을 우려했다. 송옥주 환노위 위원장은 CJ대한통운과 택배 노조가 참여하는 대화 테이블 마련을 촉구했다.